소비자단체 “SKT 정보유출 사고, 구체적 설명과 대응방안 마련해야”

소비자단체 “SKT 정보유출 사고, 구체적 설명과 대응방안 마련해야”

기사승인 2025-04-29 11:45:04

SK텔레콤 가입자들이 28일 오전 11시 10분쯤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을 찾아 유심칩 교환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정우진 기자

소비자단체들이 SK텔레콤의 유심(USIM) 해킹 사태로 소비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며 소비자보호 방안 마련, 유출 규모 설명 등을 29일 촉구했다.

소비자시민모임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대다수의 SK텔레콤 가입자가 정확한 가이드라인 없이 유심보호서비스, 유심교체 등 언론에 나온 내용에 따라 스스로 대응하지만 여전히 불안하고 불편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이동통신 서비스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약 23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중”이라며 “이런 거대한 기업에서 유심 해킹사고가 발생했음에도 개별 문자가 아닌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해킹 사실을 가입자에게 알리는 등 허술한 대책을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고령 소비자 및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SK텔레콤 가입자에게 해킹으로 유출된 정보의 구체적 범위(IMSI, ICCID, 인증키 등) 설명하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으나 이후 소비자에게 육하원칙에 따라 알려야 한다”며 “이와 함께 예상되는 소비자 피해와 대응 방안은 무엇인지 밝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기업의 임원들이 고개를 숙이고 보여주는 식의 사과를 하는 것으로 사건을 넘기지 말라”며 “원인 규명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으로 재발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소중한 정보를 지키는 것이 기업이 마땅히 해야 할 의무”라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정부에게도 “이번 사고는 관련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인터넷진흥원도 최소한 문제 발생 경위와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정부의 입장을 알릴 필요가 있다”며 “이동통신 3사에 대한 주기적인 보안점검 및 평가를 의무화해 정보보안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정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