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한 투자 유치가 진행되는 가운데, 복수의 해외 석유 메이저사 등 기업이 탐사 데이터 열람에 참여하면서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앞둔 6월3일 한국의 대선이 진행돼 정치적 변수가 해외 기업의 실제 입찰 참여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가 외자 유치 추진을 위해 지난 3월부터 진행 중인 탐사 데이터 열람에 복수의 석유 메이저 기업과 해외 국영 석유 기업 등이 순차적으로 참여 중이다. 석유공사는 기존에 가진 탄성파 분석 등 탐사 데이터에 더해 최근 실제로 해저 지형을 뚫고 진행된 1차 탐사시추 결과 얻은 물리·이수 검층 데이터도 일부 추가로 공개했다.
현재 정부로부터 국내 자원 탐사권을 독점적으로 부여받은 석유공사는 지난 3월 효율적·안정적인 개발을 위해 심해 개발 경험이 풍부한 해외 사업 파트너를 찾고자 ‘동해 해상광구 지분 참여 입찰 공고’를 낸 바 있다.
해외 기업들은 최대 49%까지 지분 참여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성이 유망하다고 판단하면 석유공사에 일시금인 ‘사이닝 보너스’를 제공하거나, 지분 이상으로 석유공사 몫의 향후 사업비까지 부담하는 조건을 제안할 수도 있다.
이 같은 투자 유치 구조 설계는 석유공사가 과반 지분을 갖고 사업 주도권을 유지하면서도 향후 들어갈 개발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뤄졌다.
석유공사는 6월20일까지 입찰 신청을 받은 뒤 7월4일까지 입찰 평가를 거쳐 7월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이후 구체적인 협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앞서 ‘대왕고래’ 유망구조에서 진행된 1차 탐사시추가 사실상 불발에 그쳐 사업 동력이 약해졌다는 평가 속에서, 석유공사 측은 석유·가스를 담을 수 있는 ‘석유 시스템 구조’ 자체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돼 지속적인 개발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는 입장이다. 석유공사는 20%의 성공 확률을 고려해 향후 수년에 걸쳐 최소 5번의 탐사시추가 필요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그간 야권을 중심으로 동해 심해 사업이 불투명하게 진행됐다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된 상황이라서 정권 교체 가능성 등 정치 변수가 향후 사업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지분 참여 신청 마감은 대선 직후인 6월20일로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