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가계 여윳돈이 93조원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초 상여금 유입 등으로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나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은 감소한 영향이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9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62조6000억원)보다 30조3000억원 늘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로, 직전 최대치인 2023년 1분기(92조8000억원)보다 1000억원 많다.
순자금 운용액은 금융자산 거래액(자금운용)에서 금융부채 거래액(자금조달)을 뺀 금액이다. 통상 차액이 플러스(+)면 여유 자금이 있어 자금을 순운용, 마이너스(-)면 자금이 부족해 순조달한 것이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연초 상여금 유입 등으로 가계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아파트 신규 입주물량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여유자금이 증가해 순자금운용 규모가 전분기 대비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가계의 1분기 자금 운용 규모는 101조2000억원으로, 전 분기(71조2000억원)보다 30조원 증가했다. 이 기간 가계는 금융기관 예치금(49조7000억원), 지분증권과 투자펀드(29조3000억원), 보험·연금(13조3000억원) 중심으로 금융자산 운용을 늘렸다. 특히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운용은 전 분기(10조5000억원)의 약 3배 증가했다.

반면 가계의 1분기 자금조달액은 8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8조6000억원)보다 4000억원 줄었다. 금융기관 차입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조달 규모가 소폭 축소됐다. 전 분기(89.6%)보다 0.2%포인트(p) 떨어져 여섯 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분기 말 89.4%로 나타났다. 김 팀장은 “올해 2분기는 서울 등 수도권 주택거래가 늘어 가계부채 증가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은 1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가 18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16조2000억원)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로 투자 둔화가 계속됐지만, 상여금 지급 등 기업 운전자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일반정부의 순자금 조달액도 전분기 3조9000억원에서 40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정부 지출이 수입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