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인권법센터의 김예원 변호사가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장애를 언급한 데 대해 “전적으로 내 잘못”이라며 “너무 후회된다”고 사과했다.
11일 김 변호사는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자신의 페이스북에 “평소 의안을 착용하시고 적극적으로 의정활동 하시는 박 의원님을 보면서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어제 오랜만에 직접 뵈니 일방적인 내적 친밀감에 결례를 하고 말았다”고 밝혔다.
이어 김 변호사는 “너무 후회된다”며 “질문했다가 그런 대답을 듣고 당황했을 의원님께 오늘 아침에 직접 사과드렸다. 다행히 괜찮다고 하시면서 사과를 받아주셨다”고 전했다.
앞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9일 국회에서 검찰개혁 4법 관련 공청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국민의힘 측 김 변호사는 검찰청 해체 시 발생할 부작용을 우려했다.
그는 박 의원과 질의응답을 하던 중 “의원님 한쪽 눈이 없으시잖냐”며 “저도 마찬가지로 한쪽 눈이 없어요”라고 말한 뒤 “저도 장애인으로 살고 있는데 제가 변호사가 될 때까지 장애인들을 거의 못 만나 봤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박 의원은 발언을 마친 뒤 다른 쪽을 보고 있다가 김 변호사가 자신의 장애를 언급하자 고개를 돌려 김 변호사를 쳐다봤다.
김 변호사는 “어제 박 의원님 질문 취지는 ‘사회적 약자를 변호한다면서 왜 검찰개혁을 반대하느냐’였다”며 “순간적으로 ‘제가 하는 일을 오해하시는 것 같으니 배경을 설명드려야겠다’는 생각을 해버린 것”이라고 박 의원의 장애를 언급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냥 '지금 이대로는 제도의 디테일이 없어서 그대로 시행될 경우 사회적 약자가 제일 큰 피해를 입게 되어 그렇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말했으면 될 것을 멍청하게 왜 그랬을까”라고 자책했다.
김 변호사는 “저도 태어날 때부터 장애인이 되었지만 공부도 잘하고 목소리도 커서 차별당한 적이 거의 없다가 공익변호사 활동을 한 이후부터 이 사회에 투명인간 취급당한 장애인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제도의 설계는 잘 보이지 않는 사람도 감안해서 세심하게 설계돼야 한다는 취지로 말하려는데 시간 제약으로 끝까지 말을 다 하지 못하고 어색하고 무례한 답변만 남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제 경솔한 언행으로 상처받고 화난 많은 분께도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드린다”며 “제 진심이나 진짜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이었든 간에 어제의 제 잘못을 조금도 줄일 수 없다”고 사과했다.
한편 시각장애인인 김 변호사는 2012년부터 변호사 활동을 시작해 다양한 장애인 인권 관련 법률 개선과 제도 개선 활동에 힘써왔다. 현재는 장애인권법센터 대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