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보기'에서 '살고 싶다'로"…평창 '강원에서 살아보기' 참가자 전원 정착 의사

"'살아보기'에서 '살고 싶다'로"…평창 '강원에서 살아보기' 참가자 전원 정착 의사

귀농형 3개월 마치고 주택 마련…농지 임대도 검토 중
평창 인구 정책에도 실질적 '도움'

기사승인 2025-07-21 17:48:55
“살아보니 살고 싶어졌죠. 이제 집을 구하고, 향후 농지 임대도 알아보고 있습니다.”

평창군 '강원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농작물 수확 작업을 하며 농촌 일상을 직접 경험하고 있다. (사진=평창군)
강원 평창군의 ‘강원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참가자 A씨(60대)는 이 같이 말했다. 

21일 평창군에 따르면 군은 직전 도시민의 안정적인 귀농·귀촌 정착을 돕기 위해 올해 상반기 황토구들마을 농촌휴양마을에서 3개월간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7명의 참가자는 마을 탐방, 주민 교류, 감자 재배 등 농촌 체험을 마친 뒤 전원이 평창 거주 주택을 마련했으며, 일부는 농지 임대 계획까지 세우며 본격적인 정착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고양시에서 온 A씨는 "군 생활 30년 동안 강원도에서 근무한 적이 없어 막연한 호기심으로 시작했지만, 막상 살아보니 교통 인프라도 좋고 지역 매력도 뛰어났다"며 "KTX나 고속도로 접근성은 물론, 지역 주민들과의 ‘정’이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귀농형 프로그램은 단순 체험을 넘어서 실제 농사와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게 해줘 의미가 깊었다"며 "감자를 직접 심고 키우는 과정에서 농작물에 애정이 생겼고, 지역에 더 머물고 싶다는 마음이 자연스럽게 생겼다"고 덧붙였다.

이는 현재 평창군이 직면한 인구 감소 흐름 속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다. 통계청의 주민등록 기준에 따르면 평창군 인구는 지난해 12월 4만396명에서 올해 3월 4만90명으로 감소세에 있다. 이에 평창군은 ‘인구 4만 명 사수’를 기치로 전입지원금 인상, 전입 책임할당제 등 다각적인 인구 유입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농촌정책 전문가는 "3개월 단기 체험이 정착 의지까지 연결된 것은 전국적으로도 드문 사례"라며 "공공이 실거주 기반과 주택·농지 정보 등을 제공하면 인구 회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참가자들은 "외지인이 구할 만한 집이나 농지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정책 제안을 내놨다. 

평창군은 지역 인구정책을 총괄할 인구정책 전담부서도 신설하는 등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조직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귀농귀촌인 유입이 인구 회복 뿐 아니라 지역 활력에도 필수적"이라며 "이번 프로그램과 후속 정책이 실제 인구 유지·회복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용하 평창군 농정과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도시민들이 지역을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 더 짜임새 있는 세부 프로그램으로 평창 정착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평창군 '강원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수확한 감자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평창군)
백승원 기자
bsw4062@kukinews.com
백승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