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력발전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그린수소가 수소충전소에 공급된다. 환경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간 641톤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나무 10만 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수준의 환경 효과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3일 성남정수장에서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수소환경협회 등과 함께 그린수소 출하 기념행사를 열고, 수력에너지로 생산된 그린수소를 수소충전소에 본격적으로 공급한다고 밝혔다.
성남정수장 그린수소 생산시설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차 보급 확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22년부터 추진한 사업이다. 총 44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구축한 이 시설은 하루 최대 188kg, 수소승용차 약 40대 충전량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그린수소는 올해 9월까지 운송 차량을 이용해 성남시에 소재한 수소충전소에서 공급된다. 이후 10월부터는 성남정수장 인근에 설치되는 이동형 수소충전소에 배관을 통해 직접 공급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수력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밀양시, 충주시와 협력해 밀양댐과 충주댐에도 구축하고 있다. 시설이 완공되는 2028년부터 하루에 수소승용차 기준 약 214대를 충전할 수 있는 그린수소 1069kg이 매일 추가로 생산될 예정입니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앞으로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설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필요한 수소를 지역에서 생산하는 '지역 자립형 수소 생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환경부 류필무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이번 그린수소의 수소충전소 공급은 기후위기 시대의 청정에너지인 그린수소를 생산 실증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활용단계로 전환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며 “차량용 그린수소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수소차 보급 확대는 물론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