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빌라(연립·다세대) 3채 중 1채는 2년 전보다 전세가격이 하락하는 ‘역전세’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2023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 지하층을 제외하고 1건 이상의 전세 거래가 있었던 전국 연립·다세대 1만4550곳의 실거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일 평형의 전세 계약 중 31.9%(4641개)의 전세 보증금이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하락폭이 가장 큰 곳은 대구로, 2023년 상반기 1억2116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1억587만원으로 9.7%(1530만원) 전셋값이 하락했다. 이어 인천(-7.0%), 세종(-5.2%), 전북(-5.0%), 대전(-4.3%), 부산(-3.5%) 등 순 주요 광역시도 전셋값이 내림세를 보였다.
서울은 2023년 상반기 2억3089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2억3579만원으로 2.4%(489만원) 상승했으나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전세가 평균 상승률 11.7%의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역전세도 심화됐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의 역전세 비율은 70.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대구 64.3%, 경북 52.9%, 전북 51.4% 등 지방 광역시의 침체가 두드러졌다.
전국에서 역전세가 발생한 연립·다세대의 평균 보증금은 지난 2년 간 1억8268만원에서 1억6518만원으로 1751만 원(-10.3%) 하락했다. 광주광역시는 역전세가 발생한 연립·다세대 평균 보증금 하락 금액이 3364만원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고 대구(-2524만원), 제주(-3750만원) 등도 높은 하락액을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800만원)과 경기(-1786만원) 모두 역전세가 발생했다. 집주인이 평균 1800만원에 가까운 보증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6·27대책으로 청년·신혼부부·신생아 버팀목 전세대출의 한도가 축소되면서 전세금 반환 리스크가 커져 역전세가 심화될 수 있단 우려가 제기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현재 임대차 시장은 아파트와 빌라가 전혀 다른 길을 걸으며, 세입자와 집주인이 서로 정반대의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며 “빌라 시장의 역전세 문제는 보증금 반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