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13일에 치러지는 ‘2026학년도 수능’ 원서 접수가 오늘부터 시작된다. 올해는 전국적으로 온라인 사전 입력 서비스가 제공된다. 수험생들은 접수처에 가기 전 온라인에서 미리 자신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21일 교육부는 오는 11월 13일 치러질 2026학년도 수능 응시원서 접수가 이날부터 9월 5일까지 12일간 전국 85개 시험지구 교육지원청과 각 고등학교에서 진행된다고 밝혔다. 접수 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전국의 수험생들이 온라인 사전 입력 시스템 이용이 가능하다. 지난해에는 전국 11곳(대전·세종·경기·강원·충복·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에서만 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전면 시행으로 확대됐다.
수험생들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운영하는 사전 입력 홈페이지에서 개인 응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가상계좌로 응시 수수료 납부도 가능하다.
교육부는 “현장에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험생 본인의 응시 정보를 사전에 입력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다만 사전 입력 후에는 현장 접수처를 방문,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 접수 절차가 완료된다. 온라인 사전 입력은 9월4일 오후 6시까지 주말을 포함해 24시간 입력할 수 있다.
수능 응시원서는 재학생의 경우 소속 고등학교에서, 졸업생은 출신 학교에 제출하면 된다. 다만 고교 졸업자 중 현 주소지와 출신 고교 소재지 관할 시험지구가 다를 땐 관할 교육지원청에서 접수가 가능하다. 검정고시 합격자도 주소지 관할 교육지원청에 원서를 내면 된다.
수능 응시원서는 수험생 본인이 직접 접수하는 게 원칙이지만, 군복무자·수형자·입원자·해외거주자 등은 예외로 인정받을 수 있다. 시도교육감으로부터 불가피한 사유를 인정받는 경우 직계가족·배우자 등에 의한 대리 접수가 허용된다.
모든 수험생은 여권용 규격 사진과 응시수수료,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준비해야 한다. 만약 사전 입력 시 등록한 사진으로는 본인 확인이 어려울 경우 접수처에서 여권용 사진 2매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중 응시 수수료 면제 대상자는 접수처 방문 시 반드시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중증·경증 시각·청각장애 등 시험 편의 제공 대상자는 장애인 증명서와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사본, 병원장 발행 진단서, 학교장 확인서 등을 준비해야 한다.
교육부는 “시험 편의 제공 대상자는 현장에서 원서를 접수하므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과 여권용 규격 사진 2매, 관련 증빙자료 등을 지참해 접수처를 방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