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의 두 얼굴

이토 히로부미의 두 얼굴

기사승인 2009-06-26 19:11:00


[쿠키 문화] 일본에서 이토 히로부미(1841-1909)는 근대 일본 건설의 최대 공로자로 알려져 있다. 입헌군주제 형성의 주역으로 메이지 헌법 제정과 운용, 내각제 창설 , 근대 화폐제도의 확립 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고 자국 내에서는 균형 잡힌 지도자로 높이 평가돼왔다. 한국 통감으로서의 역할도 일본 내에서는 온건파에 위치해 국제 협조에 주의를 기울이고 한국에 일정한 배려를 하면서 한국의 근대화를 추진했다는 게 일본 측 시각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물론 그런 긍정적 평가는 드물다.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한일합방을 강압적으로 추진하는 등 일본 정부를 대표해 한국 수탈을 진두지휘한 ‘침략의 원흉’이라는 이미지가 일반화돼 있다.

올해는 그가 안중근 의사에게 살해된 지 꼭 100년째이며, 내년은 안 의사가 처형당하고 한일합방이 이뤄진 지 100년째가 된다. 이에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한 일본 측 연구그룹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본의 과학연구비 보조금을 갖고 한국 연구자들과 협동으로 연구를 진행해 ‘한국과 이토 히로부미’(이성환·이토 유키오 편저·도서출판 선인,사진)라는 책을 최근 출간했다.

양국에서 동시 발행해 이토에 대한 현격한 인식차를 좁혀보자는 취지다. 그러나 총 15명의 연구자(일본 7, 한국 5)들의 시각은 여전히 긍정과 부정이 충돌하며 엇갈린다. 특히 이토가 한국병합을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있었느냐를 놓고 이견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이는 권두의 대표 발제격인 이토 유키오 일본 교토대 대학원 법학연구과 교수의 논문과, 방광석 고려대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의 논문을 통해 압축적으로 드러난다.

이토 유키오 교수는 ‘이토 히로부미와 한국통치’라는 글에서 “히로부미는 기본적으로 열강과의 협조외교를 추진하고, 대외적으로도 고압적이지 않았다”라며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와같은 측면은 거의 거론되지 않고, 초대 한국통감으로 한일합방을 강압적으로 추진한 인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다소 푸념조로 설명했다. 이어 사법제도 개혁, 교육 투자, 위생·공업·상업상의 발전 도모 등 이토 히로부미의 통치구상을 나열했다.

이토 유키오 교수 논지의 요점은 이토 히로부미가 당초에는 합병을 하지 않은 상태로 한국의 근대화 및 한일 간 융화를 지향했지만, 한국 측에 그 진의가 충분히 이해되지 않아 좌절됐다는 것이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의 자세는 합방을 목적으로 했다기보다는 한국인의 자발적인 협력을 확보해 저비용으로 한국의 근대화를 실행해 일본, 그다음으로 한국의 이익을 도모하려는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방 교수는 한국 학계의 통설대로 이토가 일본 정부의 방침으로부터 벗어난 일이 없으며, 시종일관 합방을 도모했다는 논지를 전개했다. 방 교수는 “이토는 한국이 정치, 경제, 교육 등 모든 면에서 ‘비참한 상태’에 처해 있으며, 그것들을 개혁할 수 없는 한국인을 ‘무능력자’ ‘야만인’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봤다”면서 “이런 상태로부터 한국을 구해내기 위한 것이라는 명목으로 침략을 정당화한 다음 ‘시정개선’ 정책을 추진해나갔다”고 지적했다.

방 교수는 여러 사실과 정황증거들을 제시한 뒤 “이토는 한국의 식민 지배를 전면에서 지휘하기 위해 건너왔다. 따라서 ‘보호통치’를 시작하는 단계부터 한국병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은 당연하다”라며 “한국민의 격렬한 저항에 직면해 ‘보호통치’가 막다른 길에 다다르자 즉시병합론에 동조하게 됐다”고 결론지었다.

이외에도 한국 통치에 있어 이토의 본래 의도, 이념, 진정성, 진행 방식, 구체적 정책의 공과(功過) 등에서 양국 학자들 간에 상당한 시각차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 역사적 인물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상황 변화에 따른 ‘유동성’ 때문일 수도 있고, 처음부터 겉과 속이 다른 ‘두 얼굴’ 때문일 수도 있다. 또 민족주의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한 두 나라 학자들의 근본적 한계가 깔려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책에는 ‘이토 히로부미의 한국 유교관’ ‘한국 사법정책과 그 귀결’ ‘통감부의 사법개혁 착수’ ‘보호정책 이념으로서의 한일 협동주의’ ‘이토 히로부미 살해사건의 파문’ 등 다각도의 논문이 실려있다. 그러나 당초 기획 취재대로 이토를 둘러싼 양국 역사인식의 균열이 어느 정도나 메워질지는 미지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

▶뭔데 그래◀ 검찰의 PD수첩 작가 이메일 공개 어떻게 보십니까

김호경 기자
hkkim@kmib.co.kr
김호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