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임상시험 제약사 위주로…공익적 임상시험 소수

국내 임상시험 제약사 위주로…공익적 임상시험 소수

기사승인 2015-08-20 09:10:55
[쿠키뉴스=김단비 기자] 의료계 내부에서 공익적 임상연구가 활발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국립암센터-암정복추진기획단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익적 임상연구 활성화를 주제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김흥태 암정복추진기획단장은 “국내 임상연구는 신약개발, 줄기세포 연구 등 수익창출을 위한 보건산업분야에 집중돼 있다”며 “제약사 주도의 임상규모가 크며 공익적 임상연구의 비율이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신상원 고려대학교 종양내과 교수는 “제약사 주도의 임상연구는 ‘효과 있다’, ‘안전하다’는 결과를 얻기 위한 연구다. 이미 결론은 정해진 것”이라며 “연구자 주도의 임상시험, 즉 공익적 임상시험의 비율을 높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익적 임상연구란 신약의 시판 허가를 위해 진행하는 제약사 주도의 연구가 아닌 기존 약의 비용 대비 효과의 재평가, 서로 다른 약 간의 효능 비교 등 제약사와 연구자 간에 이해관계 없이 진행되는 연구를 말한다. 환자 입장에서는 가장 도움이 되는 연구라 볼 수 있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임상연구의 결과 패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누가 스폰을 하느냐에 따라 최종 발표되는 논문의 비율에는 높은 차이가 없다. 그러나 결과 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제약사 주도의 임상시험의 경우 실험군에 대해 ‘안전하다’는 결론의 논문이 다수지만 연구자 주도의 임상시험의 경우 ‘안전하지 않다’는 부정적인 결론이 도출되는 논문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제약사 주도의 임상연구의 경우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더라도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에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해외 임상연구 사례를 발표한 이 교수는 영국의 상황을 예로 들며 “영국의 경우 제약사(의뢰자) 주도의 임상시험과 연구자 주도의 임상시험이 일괄적으로 한 곳의 기관에서 허가를 받아 진행되기 때문에 모든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된다. 어떤 형태의 임상시험이든 도출된 결과가 발표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kubee08@kukimedia.co.kr
kubee08@kukimedia.co.kr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