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박주호 기자] 우리 국민 10명 중 3명은 여전히 우리 사회를 위험한 사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2차 안전정책조정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지난해 하반기 국민안전체감도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국민안전체감도조사는 박근혜 정부의 ‘4대악’ 근절대책에 대해 국민이 느끼는 성과를 모니터하기 위해 2013년 7월 시작됐다. 결과는 6개월마다 공개된다.
지난해 하반기 6차례 조사에서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매우+어느 정도)고 응답한 국민은 26.4%였다.
이는 세월호 참사 이전인 2013년 하반기(28.5%)보다는 낮지만, 세월호 참사가 난 2014년 상반기(23.9%)와 그 해 하반기(21.0%),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한 지난해 상반기(23.0%)와 비교하면 많게는 5%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이다.
이와 관련, 안전처는 비록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2.53%) 이내이긴 하지만, 월간 조사 결과에서는 국민의 안전 체감도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로 급락한 후 점차 회복되는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해 12월 조사에서 안전하다는 응답은 33.5%로, 세월호 참사 이전 2014년 3월의 32.6%를 웃돈 것은 물론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 우리 사회가 ‘안전하지 않다’(전혀+그다지)는 응답은 평균 32.0%로, ‘안전하다’(26.4%)는 응답을 여전히 앞섰다. 국민 열명 중 3명은 여전히 우리사회를 ‘위험사회’로 인식하는 셈이다.
안전처는 이날 지난해 하반기 분야별 안전지수도 점차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먼저 성폭력 안전 체감도 조사에서는 지난해 하반기 ‘안전하다’는 응답이 31.9%로 나타나, ‘안전하지 않다’(30.5%)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가정폭력 안전 체감도는 58.4%로 상반기보다 3.2%포인트 상승했고, 같은 기간 식품안전 체감도는 상반기(74.3%)보다 5.3%포인트 향상됐다.
하지만 4대악 중 학교폭력 안전 체감도는 ‘안전하지 않다’(38.5%)가 ‘안전하다’(22.5%)의 2배에 육박했다.
한편 지난해 교통사고, 산업재해, 수상사고, 화재, 연안사고, 해양사고 등 6개 분야 사망자는 6446명으로 잠정 집계돼 2014년의 7076명보다 630명, 약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epi0212@kukimedia.co.kr
[쿠키영상] "이를 어째?" 한순간에 곤두박질친 웨딩 촬영
[쿠키영상] 아내를 과녁 삼아 칼 던지기 선보이는 '무모한' 남편
[쿠키영상] '줄넘기도 섹시하게'…...미녀 모델의 몸매 유지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