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이준범 기자] 윤동주의 삶을 다룬 영화나 드라마는 여태껏 없었다. 연출을 맡은 이준익 감독과 각본을 맡은 신연식 감독은 윤동주의 흑백 초상화와 그의 시를 스크린으로 끄집어냈다. 책 속에 잠들어 있던 윤동주를 깨우는 열쇠는 흑백 영상과 윤동주의 동갑내기 사촌 송몽규였다.
영화는 이준익 감독의 전작 ‘사도’와 비슷한 구조로 전개된다. 윤동주(강하늘)가 일본 후쿠오카 교도소에서 심문 받는 장면에서 시작해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방식이다. 일본인 형사는 윤동주에게 독립운동에 가담했냐며 집요하게 캐묻는다. 영화는 억지로 윤동주의 입을 열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서술하게 하지 않는다. 대신 과거에서 현재까지 그가 살아온 과정을 비춘다. 평양에서 출발해 일본 오사카에 이르기까지 윤동주의 여정에는 항상 시가 있었다.
그저 시가 쓰고 싶었던 윤동주와 달리 사촌 송몽규(박정민)는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을 충실히 받아들인 청년이었다. 창씨개명에서 시작해 강제징용까지 일제의 괴롭힘이 심해지는 속도에 맞춰 송몽규의 저항도 거세졌다.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 단체에 가입하는가 하면 일본의 조선인 유학생들을 규합해 독립운동의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윤동주의 눈앞엔 시와 독립운동이라는 두 가지 길이 놓인다. 시인의 길을 가고 싶지만 시대 상황이 윤동주를 갈등하게 한다. 윤동주는 독립운동에 투신하지 않았지만,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일본인 형사에게 머리를 밀리고 일본군에 끌려갈지도 모른다는 불안에 시달린다. 뒤늦게 독립운동을 시작하려 해도 송몽규는 시인이 더 어울린다는 이유를 들어 윤동주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영화는 윤동주를 송몽규와 대비시키는 동시에 영화 전체를 흑백으로 처리했다. 관객들의 기억 속에 있는 윤동주의 흑백 이미지를 불러내기 위해서다.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인물의 표정과 시선을 따라가는 데 도움을 줘 쉽게 몰입할 수 있다.
다행히 억지 감동은 없다. 윤동주가 심각하게 고민하는 장면이나 자신의 시를 읊는 장면, 울부짖는 장면에서 과한 음악과 연출이 나타날 법하지만 있는 그대로 감상할 수 있게 허락한다. 하지만 다소 답답한 느낌도 든다. 비극적인 결말을 이미 알고 있어서 영화의 모든 내용이 슬픈 정서로 전달된다. 윤동주의 삶을 미처 몰랐다는 죄책감은 영화를 엄숙한 자세로 감상하게 한다.
시인 윤동주라는 이미지 대신 청년 윤동주의 삶이 소비될 수 있도록 돕는 영화다. 윤동주가 세상을 떠난 지 71년이 지나는 동안 윤동주와 송몽규의 삶은 잊혔다. 반대로 윤동주의 시는 여전히 교과서, 혹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살아 숨 쉰다. 윤동주의 시가 지금까지 읽히는 건 그가 천재여서가 아니다. 영화는 거친 시대에 저항하는 삶을 살아낸 끝에 시가 써졌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배우 강하늘과 박정민의 연기가 영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두 젊은 배우는 계산하지 않고 온 몸을 던져 영화 속에 녹아들었다. 특히 연변에 있는 송몽규의 묘소에 다녀올 정도로 부담감이 컸다는 박정민의 열연은 주목할 만하다. 2월 17일 개봉. 12세 관람가. bluebell@kukimedia.co.kr
[쿠키영상] "다가오지 마!" 흉기 들고 위협하는 게
'달리니 시원하고~ 벗으니 더 시원하고~' 옷 훌렁 바이크女
[쿠키영상] '취한다~' 릴리 매력에 흠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