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이 도시보다 분만 시 이동거리가 약 5배 먼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3일 발표한 ‘임신·출산을 위한 인프라의 분포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각 시군구의 중심점에서 분만(제왕절개)가능한 의료기관까지 군 지역의 전국 평균 접근거리는 24.1㎞로 시 지역 평균인 4.8㎞과 비교해 약 5배가량 차이가 났다.
또한 분만(제왕절개)가능 의료기관까지 서울시는 1.1㎞로 직선거리가 가장 짧은 반면, 도에 속한 군 지역은 24.2㎞로 가장 멀게 나타났다. 즉 농촌 거주 산모가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서는 서울 거주 산모보다 최대 21.9배 이동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시·군·구별 분만(제왕절개)가능 의료기관까지 거리 차이는 컸으나, 산부인과 의료기관까지 접근거리 차이는 크지 않았다. 도에 속한 시 지역 평균이 0.3㎞였고, 광역·세종시의 군 지역이 0.6㎞로 나타났다. 전국 군 지역의 평균 산부인과 도달 거리는 0.4㎞였다. 이는 농어촌 지역(군 지역)의 소단위 수요에는 대체로 보건기관이 대응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저출산 현상으로 산부인과 관련 의료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산부인과 전문의 확보율은 2013년 6월 말 기준으로 73.6%로 적정확보율에 못 미치고 있으며, 게다가 이 중 51%는 중도에 포기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이소영 부연구위원은 “임신,출산을 위한 보건의료 인프라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 임신·출산을 위한 일반 의료서비스가 지역별 격차 없이 골고루 분포돼야 하고, 더 나아가 응급발생 의료서비스와 고위험 임신·출산에 대응하는 의료서비스까지 형평에 맞게 분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부연구위원은 “지속적인 출산율 하락에 대응해 임신과 출산을 위한 일반 의료서비스, 응급발생 의료서비스나 고위험 임신·출산에 대한 의료서비스 모두 지역별 격차 없이 골고루 분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