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발생 지진규모, 양산단층 7.6, 울산단층 8.3까지 가능성

최대발생 지진규모, 양산단층 7.6, 울산단층 8.3까지 가능성

추혜선 의원, 활성단층대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실시해야

기사승인 2016-09-22 09:31:58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우리나라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에서 최대발생 가능한 지진규모가 7.6, 울산단층에서는 8.3까지 이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 활성단층 조사결과로부터 최대발생 가능한 지진의 규모를 계산한 결과 양산단층은 6.8~7.6, 울산단층은 5.8~8.3까지 나타났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지진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최대발생 가능한 지진 규모와 변위률이 필요하고, 활성단층 조사결과로부터 최대발생 가능한 지진의 규모를 계산하기 위해 4가지 방법을 적용했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지질자원연구원 전정수 박사는 “현재의 단층길이, 변위, 변위율이 1회의 지진활동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가정하에 지진규모를 계산한 것으로 활성단층조사 결과가 현재의 단층길이, 변위, 변위율이며, 몇 회에 걸쳐 형성된 것에 대한 정보가 없어 활성단층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진행할 경우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9일 ‘지진후속조치 점검회의’에서 원전의 내진성능을 2018년까지 규모 6.5에서 7.0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보고서의 계산에 따르면 내진성능을 7.0으로 강화하더라도 지진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원자력분야에서도 활성단층인 양산단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기되어 왔다. 한전 전력연구원의 ‘원전부지 지진안전성 평가기반 기술개발’(2006)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를 따라 제4기 단층들이 다수 발견되면서 이들이 활동성 단층인가 그리고 이들 단층이 원전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인가가 제기되면서 본격적인 제4기 단층 연구 및 고지진학적 연구가 시작되었다”며 “지금까지 활동성단층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였으나 제4기 단층들이 다수 보고 되고 있고, 이들 중 일부는 활동성 단층으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므로 지금까지 내진설계에서 배제되었던 단층 지지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고 적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추혜선 의원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지진학계와 원자력계에서 양산단층과 울산단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월성1호기 등 원전의 내진설계 등 안전성 검증에서 활성단층이 배제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지질자원연구원의 보고서가 폐기된 것이 원자력계의 반발 때문이라는 것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해당 보고서가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가 짧아 신뢰성이 낮다는 주장은 우리나라 활성단층에 대한 정밀조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정부는 우선적으로 인구는 물론 원전과 국가주요 산업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동남부지역의 활성단층대에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