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민규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매년 수백 건의 식품 알레르기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2016.6.)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 알레르기 사고 접수 현황은 총 177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2년 387건, 2013년 316건, 2016년 413건, 2015년 419건, 2016년에는 상반기에만 240건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52.8%, 남성이 46.3%를 차지했으며, 지역별로는 ‘대구’가 50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 323건 ▲경기 214건 ▲제주 145건 ▲대전 77건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만 10세 미만’이 449건(25.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30대’ 258건(14.5%), ‘40대’ 241건(13.6%), ‘50대’ 230건(13.0%), ‘20대’ 185건(10.4%), ‘만 60세 이상’ 145건(8.2%), ‘미상’ 139건(7.8%), ‘10대’ 128건(7.2%)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기타식품&기호식품’ 293건 ▲‘어패류&어패류가공식품’ 280건 ▲‘육류&육류가공식품’ 121건 ▲‘빵&과자류’ 100건 ▲‘유란류&유란유가공식품’ 93건 등의 순이었으며,
2015년부터 2016년 6월까지(2015년부터 CISS 신코드 도입함에 따라 품목/증상 등 일부항목 통합분석 불가)는 가공식품 중 ‘건강식품’이 177건으로 가장 많았고, ▲‘외식(가공식품)’ 120건 ▲‘수산물(축산․수산물 식품)’ 76건 ▲‘축산물가공품(가공식품)’ 37건 ▲‘빵(떡) 및 과자류(가공식품)’과 ‘축산물(축산․수산물 식품)’이 각각 36건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증상별로는 피부계통 질환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두드러기 및 홍반’이 1091건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피부염 및 습진’ 12건, ‘기타’ 10건이 발생했다. 특히 국내 10대 사망 원인 중 7위를 차지하는 ‘만성 하기도 질환’도 3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5년부터 2016년 6월까지는 ‘피부염 또는 피부발진’이 316건, ‘가려움’ 153건, 기타 손상에 해당하는 ‘알레르기’가 190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인재근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식품 알레르기 표시 위반으로 인해 행정처분을 받은 품목은 총 24건에 달했지만 해당 식품들에 대한 회수조치는 전무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2015년 1월 30일부터 위해식품 회수지침을 개정해 표시대상 알레르기 유발 원료성분을 표시하지 않은 제품을 회수 대상에 포함해 관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즉, ▲2015년 1월 이전까지는 관련규정 미비로 회수 자체가 불가능했으며, 개정 이후 적발된 4건의 경우는 ▲유통 전에 적발되어 회수가 불필요 했거나 ▲당일 제조판매 제품으로 전량 소진되어 회수가 불가능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은 “호주의 ‘임상면역학 및 알레르기 학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07년 한 해 동안 호주 내에서 알레르기 치료로 인한 비용 손실이 78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에 따른 총 사회적 비용 지출은 215억 달러를 넘었다. 식품 알레르기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익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라며 “특히 식품 알레르기는 개개인의 건강은 물론 심한 경우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식약처 등 소관부처가 더욱 철저히 관리감독 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