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 평균연령 2006년 32.2세…지난 10년간 1.9세 증가

'분만' 평균연령 2006년 32.2세…지난 10년간 1.9세 증가

기사승인 2016-10-21 14:50:51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우리나라 분만평균 연령 2006년 30.3세에서 2006년 32.2세로 지난 10년간 1.9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서울대 보건대학원에서 열린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은 이날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6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지난 10년간의 임신 및 분만 경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분만평균연령은 2006년 30.3세에서 2015년 32.2세로 1.9세 증가했으며, 이중 35세 이상 분만비중은 13.7%(‘06년) → 27.6%(‘15년)로, 40세 이상 분만비중은 1.2%(‘06년) → 3.0%(‘15년)로 각각 증가했다.

또 분만건수는 2006년 43만1559명에서 2015년 42만8319명으로 0.8% 감소했으나, 실질적인 가임여성인 24~38세 사이 건강보장 여성 수가 지난 10년 동안 625만4000명에서 531만9000명으로 15.0% 감소해 2010년 인구구조로 표준화한 분만율은 ‘06년 4.05%에서 ‘15년 4.54%로 1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소득수준은 2006년에는 3분위 26.2%를 중심으로 중간층에 골고루 분포한 데 반해, 2015년에는 4분위 33.8% 등 고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한 직장 여성이 분만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2006년 67.3%에서 2014년 73.9%로 9.9% 증가했으며, 출산 1년 후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62.9%에서 ’14년 69.7%로 10.8% 증가해 일과 가정 양립 정책의 긍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보공단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난 10년간의 출생 및 분만 변동뿐만 아니라 가임여성 인구구조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건보공단 성상철 이사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자격, 진료를 망라하고 있어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출산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학회에서는 ‘건강보험 빅데이터’ 세션을 운영됐는데 ‘저출산 극복을 위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활용방안’이라는 3개의 주제 발표와 3명의 토론이 진행됐다.

이승욱 교수(서울대 보건대학원)를 좌장을 맡았고 ▲이성용 교수(강남대)의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원인’ ▲송태민 센터장(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셜 빅데이터 기반 저출산 정책 수요 예측’ ▲박종헌 전문연구위원(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임신 및 출산 추이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이날 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원인, 소셜 빅데이터 기반 저출산 정책 수요 예측 결과가 발표됐다.

이성용 교수가 발표한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과 원인’에 따르면, 1998년 이후에는 그 이전과 달리 남편과 부인 모두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출생아 수가 증가하고 있어 외환위기 이후 사회경제적(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의 사람들이 경기가 침체되고 불평등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가장 민감하게 출산감소를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송태민 센터장은 ‘소셜 빅데이터 기반 저출산 정책 수요 예측’ 발표를 통해 결혼과 출산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안정된 일자리 창출, 정부차원의 지원 확대를 통한 여성경력단절 방지, 남성의 육아휴직 가능한 사회적 환경조성, 육아휴직 급여 확대, 출산과 양육을 국가가 책임질 수 있는 정책의 대전환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