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수)
[쿠키뉴스 여론조사] 확고한 문재인 대세론…안희정·황교안 각축전

[쿠키뉴스 여론조사] 확고한 문재인 대세론…안희정·황교안 각축전

기사승인 2017-02-22 04:00:00 업데이트 2017-04-04 11:07:54

[쿠키뉴스=민수미, 이소연 기자]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차기 대선에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대표의 당선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쿠키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53.4%가 문 전 대표의 당선을 예상했다. 문 전 대표에 이어 안희정 충남지사 18.4%,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13.2%,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4.9%, 이재명 성남시장 2%,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1.1%, 손학규 전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1%, 심상정 정의당 대표 0.1% 순이다. 문 전 대표의 독주가 계속되는 가운데, 안 지사와 황 권한대행의 격차는 현재 5.2%다. 그러나 ‘대연정’ 제안과 ‘선의’ 발언 등 연이은 안 지사의 실책이 황 권한대행에게 호기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전 대표는 대선 후보 간 다자대결에서 1위를 지켰다. ‘내일이 대통령 선거일이라면 어떤 인물을 지지하겠느냐’는 물음에 전체 응답자 중 35.2%가 문 전 대표에게 표를 던졌다. 안 지사 19%, 황 권한대행 16.3%, 안 전 대표 8.8%, 이 시장 8.6%, 유 의원 2.5%, 손 전 의장 2.1%, 심 대표는 1.2%의 지지율을 얻었다.

지역별로는 서울(36.4%)과 경기·인천(35.5%), 광주·전라(38%), 부산·울산·경남(39.5%), 강원·제주(41.6%)에 거주하는 응답자들이 문 전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지지했다. 그러나 대전·세종·충청 지역에서는 안 지사가,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황 권한대행이 강세를 보였다.

젊은층의 지지도 문 전 대표에게 쏠렸다. 전체 응답자 중 19세~29세 52.5%, 30대 45.8%, 40대 45.8%가 그를 차기 대권 주자로 선호했다. 50대의 지지율은 골고루 나뉘었다. 50대 응답자 중 문 전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선택하겠다는 비율은 23.6%였다. 안 지사(23.3%), 황 권한대행(21.7%), 안 전 대표(11.4%)가 그 뒤를 이었다. 다만 60세 이상은 차기 대통령으로 황 권한대행(31.1%)을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해당 연령에서 안 지사와 문 전 대표는 각각 22.9%, 15%를 기록했다.

문 전 대표가 두터운 지지층을 확보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민주당 지지자 64.5%와 정의당 지지자의 49.2%가 그를 차기 대통령으로 지지했다. 황 권한대행은 자유한국당(61.9%), 바른정당(29.7%) 지지자에게 강세를 보였다. 안 전 대표는 국민의당 지지자 46.4%의 지지를 얻었으나, 타 정당 지지자로부터는 한자릿수의 지지율을 얻는 것에 그쳤다. 안 지사는 국민의당(22%), 자유한국당(21%), 바른정당(20%), 더불어민주당(16.7%) 등 여·야 지지자로부터 고르게 표를 얻었다. 

문 전 대표는 4자 대결에서도 우위를 점했다. ‘문 전 대표, 황 권한대행, 안 전 대표, 유 의원 등 4명의 후보가 대선에 출마한다면 누구를 지지하겠냐’는 물음에 전체 응답자 중 49.5%가 문 전 대표를 택했다. 황 권한대행 23%, 안 전 대표 12.3%, 유 의원 5.1%, ‘없거나 잘 모르겠다’는 10%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사흘간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유선전화 48%+휴대전화 52%, RDD 방식,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실시한 결과다. 표본수는 1002명(총 통화시도 2만4401명, 응답률 3.4%,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이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오차보정방법 : [림가중]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2016년 10월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min@kukinews.com

민수미,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희귀난치성 환자, 의약품 ‘면세’ 길 열리나…“생존권 보장해야”

#은 기존 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2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 세금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의약품은 희소성으로 가격이 높아 관련 세금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현행법은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세금을 같은 수준으로 책정하고 있다.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희귀난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