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정권 9년간 소득 불평등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하위 20%는 1년 동안 열심히 일해도 최저임금인 약 1600만원(주 40시간 근로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입을 거뒀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 동안 평균 지니계수는 0.307로 집계됐다. 이는 진보정권 10년간(1998~2007년) 평균 지니계수 0.284보다 0.022 늘어난 수치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로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수치가 커질수록 소득 양극화 등 불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전날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공동 조사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지난해 0.357로 전년대비 0.003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은 개인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의료보험료 등),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실질적인 소비 여력을 나타낸다.
세부적으로 보면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평균은 지난해 2974만원으로 전년(2857만원)보다 4.1% 증가했다. 이에 반해 처분가능 중위소득은 2542만원으로 평균 소득보다 432만원 적었다. 이처럼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의 차이가 커질수록 부유층에 소득이 몰려 분배가 왜곡됐다는 것을 뜻이다.
또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은 7.06배로 전년대비 0.05배p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가 하위 20%의 소득의 7배가 넘는다는 의미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1분위는 875만원이다. 5분위는 6171만원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난 정권에서 경제 규모를 키우는 것에만 집중한 나머지 경제적 빈곤과 불평등이 심화됐다”면서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5010만원, 처분가능소득은 4118만으로 집계됐다. 부채는 올해 3월 기준 7022만원으로 1년전 같은 시점(6719만원)보다 4.5% 늘었다. 부채 대부분은 담보·신용대출, 신용카드대출 등 금융부채(4998만원)로 확인됐다. 가계 재무건정성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 보다 4.0%p 늘어난 121.4%다.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