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사 프로젝트 ‘하얀 부역자들’ 글 싣는 순서
② 서울대 박사 특혜 입학 의혹, 윗선이 무리하게 몰아붙였다
- 지근거리서 지도 맡은 인사, “정신과 입학시험 치를 실력 안돼”
- 특혜 입학 의혹 당사자도 박사 과정서 힘들어해
- 연구 및 논문 작성 능력 부족… 의대와 정신과 윗선이 밀어붙여
- 유사 사례 전무후무... 반복되지 말아야
- 당시 교무부학장, "후속 조치 기억안나"
[쿠키뉴스 탐사보도] 서울대의대 정신과 박사 입학 과정에서 특혜 의혹이 있었다는 본지 보도 후 파문이 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취재진은 서울대 내부 관계자의 핵심 진술을 확보했다. 이 관계자는 “관련 분야의 전문 지식 없이 의대 박사 과정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라며 “윗사람들과 대학이 밀어붙여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쿠키뉴스 탐사보도팀이 접촉한 내부 관계자는 지도교수의 요청으로 지근거리에서 장기간 A씨의 지도를 맡았던 인물이다. 그가 밝힌 당시 상황은 매우 구체적이다. 그는 A씨의 논문 작성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정신과 연구에 대한 의견도 적잖게 나눈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관계자는 “이전이나 이후에도 이러한 사례를 본 적이 없다. (A씨는) 연구 및 논문 실력이 현저히 부족했다. 연구 데이터도 제대로 만들질 못했다. 사실상 ‘전혀 못했다’고 보는 게 맞다. 서울대 정신과 박사 과정에 정신과 배경지식을 쌓지 않은 채 입학한 전례가 없었다.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A씨 스스로도 힘들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
복수의 취재원들로부터 서울대 내부적으로 A씨를 두고 설왕설래가 오갔다는 증언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과 전공의들조차 낙방하는 박사 입학 전형에서 정신과 경력이 전무한 A씨의 박사 합격에 대해 의아한 시각이 적지 않았던 터. 취재진과 접촉한 핵심 관계자는 “‘어떻게 들어왔을까’라는 궁금증이 파다했다”며 "A씨의 당시 실력은 정신과 전공필답고사를 치를 만한 수준이 되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타 박사 과정생들이 자체적으로 연구 및 논문 작성 등을 진행했던 것과는 대조되는 입학생이었다는 증언이다.
◇ 당시 교무부원장 김연수 現서울대병원 진료부원장 “학장 지시 따라 조사위원회 구성 필요성 밝혔을 뿐 후속조치 기억안나”
2015년께 조사위원회가 꾸려질 때 서울대의대 교무부원장으로 재직했던 사람은 김연수 현 서울대병원 진료부원장이었다. 김 부원장은 이 사안과 관련해 “강대희 전 의대학장이 타 교수에게 조사위원회를 맡겨 진상을 밝힐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안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다음은 김 진료부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취재진=지난 2011년도 서울대 정신과 후기 박사 입학 과정에서 잡음이 불거지자 당시 교무부학장으로써 ‘이상하다’고 지적하지 않았나.
▶김연수 진료부원장=아니다.
▷입학 과정과 관련해 전혀 ‘지적’을 한 적이 없단 말인가.
▶그런 문제를 제기한 사람이 있어서 ‘대학 차원에서 조사를 하자’는 의결은 있었다.
▷대학 차원에서 말인가.
▶해당 건에 대해 당시 학장이 다른 교수에게 (조사)위원회를 맡아 (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진상을) 밝혀달라고 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해당 교수가(조사위원장이) 홍모 교수인가.
▶맞다.
▷당시 본인이 지시하거나, 실제 (조사 등의 과정에서 맡은) 역할 및 조치는 있는가.
▶조사가 진행된 시기가 2015년 말로 기억한다. 당시 나는 교무부학장이었기 때문에 (학장의) 뜻을 홍모 교수에게 전했다.
▷당시 조사 결과가 ‘문제없음’으로 나왔다.
▶정확히 기억하지 못한다.
▷최근에 경희대의 박사 특혜 입학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 건도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경희대에서 무슨 일이 있다는 건가.
▷연예인에 대한 특혜 입학 논란이 있어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서 수사가 진행 중이다.
▶알지 못했다.
▷본지 취재 결과 서울대 정신과 박사 입학 과정에서 여러 의혹이 발견됐다.
▶나는 그런 일이 있었고 그걸 밝혀달라는 학장의 지시로 홍모 교수에게 (조사위원장을 맡을 것을) 부탁했다. 이후 교무부학장으로의 역할이 끝났기 때문에 어떤 이야기도 듣질 못했다.
▷박사 입학을 위한 전공필답고사가 있었고, 지원자의 지도교수 전공분야에서 2문항이, 지원자가 유일하게 한번 참석한 정신과 학술 집담회에서 나온 사안 중 3문제가 무더기로 출제됐다. 지원자는 해당 5문항을 선택, 시험을 치렀다. 그 결과 1등으로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정신과 전공의들도 제쳤다. 당시 교무부학장으로 재직했던 인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갖고 있는가.
▶그런 것들을 포함해 (조사위원회에) 조사를 해달라고 홍모 교수에게 밝힌 적은 있다.
▷현재 시점에서 이 사안에 문제가 있다, 없다를 밝힐 수 있나.
▶정신과에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견해를 밝힐 수 없다).
그러나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결국 '문제없음'으로 결과를 냈고 해당 사안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당시 조사위원장은 “‘전문적인 영역에서 출제를 내라. 채점을 하라. 평가를 하라’는 것은 전부 교수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견해를 묻는 것이다. 그 내용과 행위에 대해 대학에서 논하는 것은 금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차원에서 그건은 (출제를 담당한 안모 교수가) 인정·허용할 수 있는 재량과 판단 범위 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었다.
한편, 취재진은 A씨와 입학시험 출제자였던 안모 교수와 접촉을 시도했다. 수차례 전화와 문자메시지를 보냈지만, 이들은 아무런 답변도 하질 않았다.
※ 인용 보도시 <쿠키뉴스 탐사보도>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쿠키뉴스에 있습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