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그룹별로 출시한 은행·카드·보험·증권 등 금융관련 앱(APP)이 수십 개를 넘어가고 있다. 너무나 많은 숫자의 앱에 소비자들의 ‘앱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그룹별 ‘통합 앱’은 스마트 폰의 성능 한계와 정부의 규제 때문에 출시가 요원한 상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농협 등 국내 4대 금융그룹이 출시한 앱은 200개가 넘어가고 있다. 금융그룹은 은행, 카드, 보험, 증권 등 각 계열사별로 적게는 1~2개에서 많게는 4~6개씩 앱을 출시한 상태다.
그룹 마다 계열사별로 앱을 출시하다 보니, 소비자들은 같은 금융그룹의 은행, 카드, 보험사 등을 이용하고 있더라도 은행은 은행 앱, 카드는 카드 앱, 보험은 보험 앱을 설치해 금융업무를 봐야하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국민카드를 사용하고, KB생명보험에 연금보험을 들고 있는 고객이라도 개별 업무를 보기 위해서는 각 계열사별로 최소 3가지 앱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신한은 신한S뱅크, 써니뱅크, 스마트 실명확인, 온라인 등기, S통장지갑, 써니 계산기 등 6개 앱을 하나로 통합한 ‘쏠(SOL)’을 출시하며 ‘앱 줄이기’에 나섰다. 다만 그룹 통합 앱 출시 계획은 아직까지 정해진 것이 없다.
금융그룹들은 계열사별로 존재하는 수십 가지의 앱을 하나로 통합하지 못하는 이유가 스마트폰의 성능적 제약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카드, 보험, 증권 등 계열사 앱을 하나로 통합할 경우 앱이 너무 무거워져 현재 유통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는 구동하기 어렵다”며 “스마트폰의 성능 한계 때문에 앱을 계열사별로 또는 기능별로 분리해 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스마트폰의 성능이 향상되더라도 정부의 규제가 통합 앱 출시를 가로막고 있다. 금융지주와 계열사 간 고객 정보 공유가 불가능해 금융그룹별 통합 앱 출시가 불가능하다는 것.
금융권 관계자는 “스마트폰의 성능이 개량돼도 통합 앱이 출시되기 위해서는 계열사간 고객정보 공유가 필요하다”며 “계열사간 고객 정보가 공유되지 못하면 앱의 금융기능이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사실상 통합 앱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국내 금융지주회사법은 지난 2014년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의 영향으로 지주와 계열사간 영업목적의 고객정보 공유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금융사들은 소비자들에게 토탈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금융지주 내 고객정보 공유를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