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지역의 환경단체가 마산 가포신항과 마산해양신도시에 대한 정확하고 철저한 재평가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가포신항은 물동량 예측이 완전히 빗나가면서 사실상 항만 기능을 상실한 국책사업의 대표적 실패 사례로 지적되는 사업이다.
또 마산해양신도시는 가포신항을 비롯해 마산항 내 항로준설 과정에서 발생한 토사를 처리할 목적으로 만든 인공섬으로, 난개발과 환경 파괴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창원물생명연대’는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가포신항과 마산해양신도시 문제에 대한 청와대 회신을 지난 25일 받았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대통령 공약 이향 촉구 서한’에 대한 회신에서 청와대는 ‘해양수산부와 방안을 찾기 위해 논의 중이고 6월 지방선거 후 창원시와 시민단체가 함께 논의하자’고 했다”며 “이제라도 대통령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는 것은 크게 환영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월 선거를 앞두고 마산해양신도시에 대한 선거공약이 난립하고 있어 새로운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며 “지금 먼저 해야 할 것은 가포신항과 해양신도시 전 과정에 대한 철저한 평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지난 사업의 출발과 진행과정에 대한 정확한 재평가를 통해 원인과 그 원인자를 찾아낸 후 국가와 지자체 차원의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대통령의 약속이 꼭 지켜지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마산 가포신항은 마산항 ‘제2차 무역항 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 컨테이너 예측물동량에 따라 마산항 항만능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해양수산부는 2001년 당시 마산항내 컨테이너 물동량이 계속 늘어 2020년에는 53만8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예측했다.
이에 해수부와 마산시(현재 통합창원시)는 이를 토대로 국비와 민간투자금 등 3000억원을 들여 가포신항을 만들어 2015년 개장했다.
하지만 2016년 마산항이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은 1만6000TEU에 불과했다.
결국 해수부는 2016년 9월 마산항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서 ‘2020년 마산항 컨테이너 예측물동량’을 애초 예측한 물량보다 25배가량 줄어든 2만1000TEU로 대폭 낮췄다.
물동량 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쓸모가 없어진 컨테이너 크레인을 매각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환경단체는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서항지구)'는 마산 앞바다를 매립해 64만 2000㎡(19만 4000평) 규모로 조성됐다.
3400억원의 서항지구 사업비 확보가 쟁점으로 남은 상황에서 창원시는 6월 지방선거 이후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환경단체는 마산해양신도시의 난개발과 환경 파괴 우려를 나타내며 공익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
창원=강승우 기자 kka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