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수)
국민 37% “A대표팀, 러시아월드컵 16강 진출”… 역대 최저

국민 37% “A대표팀, 러시아월드컵 16강 진출”… 역대 최저

국민 37% “A대표팀, 러시아월드컵 16강 진출”

기사승인 2018-05-18 10:58:45 업데이트 2018-05-18 11:19:09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2018 러시아월드컵에 대한 국민의 기대는 어느 정도일까? 한국의 성적을 비관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가장 기대하는 선수는 손흥민, 기성용, 이승우 순으로 나타났다. 우승후보로는 독일, 브라질, 스페인을 꼽았다.

▶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예상 성적: '16강 진출' 37% vs. '16강 탈락' 26%

러시아 월드컵에서 우리 축구 대표팀이 어느 정도의 성적을 거둘 것이라고 보는지 물은 결과 '우승' 1%, '4강' 3%, '8강' 8%, '16강' 25%로 한국인 중 37%가 '16강 진출'을 예상했다. 26%는 '16강 탈락'으로 봐 낙관론이 비관론을 앞섰다. 37%는 의견을 유보했다.

역대 월드컵 사전 조사 중에서 '16강 진출' 기대치가 가장 낮다. 2002년 한일 월드컵 한 달 전에는 73%였으나, 4강 신화를 이룬 뒤인 2006년 독일 월드컵 때는 94%로 크게 상승했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 한 달 전에는 79%, 브라질 월드컵 6개월 전인 2013년 12월에는 우리 국민 81%가 16강 진출을 예상했다. 

당시는 '홍명보호'가 초기 순항 중이었고, 조 편성 결과 또한 무난했다. 그러나 2014년 6월 브라질 월드컵 개막 이틀 전 조사에서는 마지막 평가전 완패(가나:한국=4:0) 영향으로 '16강 진출' 42%, '탈락' 44%로 가장 비관적인 기록을 남겼으며, 결국 우리 대표팀은 16강에 진출하지 못했다.

러시아 월드컵 16강 진출 예상은 남성 38%, 여성 37%로 비슷하지만 탈락 예상은 남성 41%, 여성 10%로 큰 차이를 보였다. 평소 축구 관심층은 46%가 16강 진출, 34%가 탈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 러시아 월드컵 우승 예상 국가: '독일' 23%, '브라질' 11%, '스페인' 3%

러시아 월드컵 우승 예상 국가로는 23%가 지난번 우승국이자 현재 FIFA 랭킹 1인 '독일'을 꼽았고 그다음으로는 FIFA 랭킹 2위인 '브라질'(11%), '스페인'(3%)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한국(2%), 프랑스, 아르헨티나, 러시아(이상 1%), 잉글랜드, 스웨덴, 포르투갈, 멕시코, 벨기에, 스위스까지 본선 진출 32개국 중 총 13개국 대표팀이 한 사례 이상 언급됐다. 56%는 의견을 유보했다.

▶ 월드컵 본선에서 가장 활약이 기대되는 선수는 간판 공격수 '손흥민'(38%)

이번 러시아 월드컵에서 활약이 기대되는 선수를 두 명까지 물은 결과(자유응답) 38%가 한국 축구의 간판 공격수 '손흥민'(토트넘 홋스퍼)을 꼽았다. 그다음은 대표팀 주장 '기성용'(스완지시티)과 깜짝 발탁된 '이승우'(헬라스 베로나)(이상 11%), '권창훈'(디종FCO), '구자철'(아우크스부르크)(이상 2%)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황희찬'(레드불 잘츠부르크), '김신욱'(전북현대), '이청용'(크리스탈 팰리스) 등 5월 14일 발표된 대표팀 선수 28명 중 15명 이름이 한 사례 이상 언급됐다. 전체 응답자의 57%, 성별로는 남성 39%, 여성 74%가 활약이 기대되는 선수가 없거나 모르겠다고 답했다.

▶ 평소 축구에 '(매우+어느 정도) 관심 있다' 49%: 남성 63%, 여성 36%

평소 축구에 대해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물은 결과 '매우 관심 있다' 20%, '어느 정도 관심 있다' 39% 등 성인의 49%가 '관심 있다'고 답했으며 '별로 관심 없다' 33%, '전혀 관심 없다' 16%였고 1%는 의견을 유보했다. 축구 관심도('관심 있다' 응답 비율)는 남성 63%, 여성 36%로 성별 차이가 컸다.

2014년 7월 브라질 월드컵 폐막 직후, 2015년 1월 아시안컵 8강전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남성의 축구 관심도(73%→71%→63%)는 4년간 10%포인트, 여성(59%→46%→36%)은 23%포인트 낮아졌다.

▲조사기간: 2018년 5월 16~17일 표본추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 조사대상: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 16%(총 통화 6,125명 중 1,004명 응답 완료)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이다니엘 기자 dne@kukinews.com

이다니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희귀난치성 환자, 의약품 ‘면세’ 길 열리나…“생존권 보장해야”

#은 기존 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2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 세금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의약품은 희소성으로 가격이 높아 관련 세금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현행법은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세금을 같은 수준으로 책정하고 있다.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희귀난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