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약사정책 비난하며 약사도 거리로

거꾸로 가는 약사정책 비난하며 약사도 거리로

타이레놀 정조준… 의약품 약국 외 판매정책 등 약사정책 정상화 촉구

기사승인 2018-07-29 17:11:28

문재인 정부의 보장성 강화정책에 반발하며 의사들이 거리로 나선지 불과 수개월 만에 약사들도 작열하는 태양 아래 거리에 나섰다. 현 정권의 약사정책이 국민건강을 오히려 헤치려한다는 의식이 팽배해서다.

3300(주최측 추산)의 약사들은 면대약국 OUT’, ‘병원내 불법약국 척결’, ‘편의점 판매약 OUT’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부채와 얼음물을 손에 들고 대한약사회(회장 조찬휘, 이하 약사회)29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개최한 전국 약사궐기대회에 참여했다.

대회를 시작하며 조찬휘 약사회장은 의약품 약국 외 판매로 약물 오남용과 부작용이 늘고, 부실한 관리에 국민건강이 지속적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기업형 면대약국과 병의원내 불법 약국개설을 방관하고, 영리 법인약국과 약화사고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화상투약기를 도입하려는 등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질타했다.

이어 “(정부의 약사정책은) 보건의료의 공공성과 의약품의 안전성, 건강할 권리 따위는 지나가는 개에게나 줘버리겠다는 적폐정책이라며 국민건강 수호를 위해 소리치고 눈물 흘리는 약사의 모습을 외면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묵과한다면 전국 약사들은 분연히 자리를 박차고 온 몸으로 총궐기에 나설 것이라고 대한민국 8만 약사의 이름으로 경고했다.


조 회장의 경고와 함께 약사들은 대통령과 국민을 향해 호소했다. 먼저 약사들은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지금 약업계는 원칙과 정의가 무너진 무정부 상태라며 약사의 외침은 직역이기주의로 매도당하고 국민건강을 위한 약사의 고민은 직역간 갈등으로 비화되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몇몇 대형병원들은 온갖 편법과 꼼수로 원내 약국을 개설하고 도매상과 거대 자본을 가진 기업이 불법 면대약국을 만들어 돈만 벌겠다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은 도외시되고 있다며 구먹구구식 정책, 규제 개혁의 탈을 쓰고 약사의 생존을 위협하는 정책, 꼼수와 부조리가 판을 치는 현실을 바로 세워주기를 당부했다.

국민들에게도 최근의 약사정책과 약업계 현실에 대해 토로하며 잘못된 제도를 막고 국민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약사들이 나섰음을 알렸다. 이어 지역 주민의 건강을 지키는 파수꾼이자 의약품의 전문가로 신뢰받는 약사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평생을 약과 함께 살아왔기에 약이란 것이 얼마나 복잡하고 힘들고 어려운지, 그리고 얼마나 위험한지 뼈와 살로 체감하며 배웠다면서 약이 안전하냐를 묻는 것, 약을 함부로 복용해선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약사의 본분이라고 궐기대회와 주장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특히 유럽에서 판매가 중지된 타이레놀과 그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된 7종의 의약품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편의점에서 버젓이 판매되며 그로 인한 부작용 사건이 판매중지 이전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났다는 점을 강조하며 편의점 판매약 확대정책의 철회를 강하게 주장했다.

약사들과 함께 예비약사인 약대생들도 이 같은 약사들의 의견에 동의를 표하며 주장에 힘을 더했다. 김용현 약대협회장은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 받지 못한다는 자신의 신념을 거론하며 “(정부는) 국민의 건강을 두고 무엇을 저울질 하고 있느냐고 지적했다.

여기에 국민 건강권은 경제 논리로 계산돼서는 안 된다. 하지만 거대자본은 호시탐탐 기회를 엿봤고, 정부는 8000여명이 동참했던 타이레놀 편의점 판매중지 청원을 삭제하고 안전상비약 판매자 준수사항 관련 협조요청이란 공문을 발송하며 빈틈을 허용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왜 정부는 명확한 해답을 두고 회피하고 있냐면서 미래 예비약사로서 작금의 현실을 묵인할 수 없어 이 자리에 섰다. 국민의 건강권에 반하는 의약품 정책에 안타깝다. 민주주의를 가장한 폭력에 맞서 싸우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한편, 이날 약사들은 편의점 판매약 제도 폐지와 함께 기업형 면대약국과 병원 부지 내 불법 개설약국 발본색원 국회의 의약품 자동판매기 입법안 즉각 폐기 기재부 및 경제단체의 영리병원 및 법인약국 허용요구 즉각 철회를 내용으로 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제도 정상화를 위해 투쟁을 이어나가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