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국내외적으로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최근 정부의 3기 신도시 공급 계획과 석유수출기구(OPEC)의 증산 거부로 인한 유가 상승의 영향에 따른 것을 풀이된다.
다만 건설사들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신도시 개발의 경우 영구임대주택으로 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해외 수주의 경우 투자 개발형 사업으로 전세계적인 추세가 바뀌고 있는 가운데, 그러한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국내 건설사가 수주권을 잘 따낼 수 있을지 우려도 있다.
정부는 지난 27일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수도권에 330만㎡ 이상 대규모 택지 4~5곳을 조성해 약 20만가구를 공급할 방침이다. 특히 국토부는 20만가구 공급을 위한 서울과 1기 신도시 사이의 대규모 택지는 대부분 그린벨트를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른바 3기 신도시 공급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한동안 얼어붙어있던 주택건설 업계는 군침을 흘리고 있는 상황이다.
주택사업을 중점적으로 해오던 건설사 관계자는 “공급이 늘어난다는 차원에서 건설업계에서 있어서 호재임에 분명하다”며 “물론 공공측면에서 진행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시공만 이뤄지다보니까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로드 자체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정부와 시장의 흐름에 따라 공공임대사업의 파이를 지속적으로 키우고 있는 와중에 좋은 소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에 확보하는 수도권 택지만큼은 건설사에 분양하지 말고 영구임대주택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건설사에 분양할 경우 다시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해, 그린벨트 해제가 무의미할 거란 설명이다. 또 공급에 치중한 정책 방향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권대중 교수(명지대 부동산학과)는 “그린벨트 해제로 인한 신도시는 반드시 영구임대주택으로 가야한다”며 “건설사에게 분양할 경우 다시 로또청약 문제가 발생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빨간불이었던 해외 시장에도 녹색불이 켜질 전망이다. 최근 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난해보다 해외 수주액도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오는 11월 미국의 대이란 원유 제재를 앞두고 OPEC이 증산을 배제하면서 유가는 상승세를 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19년도 초엔 유가 100불의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최근 민간 사업자 참여를 통한 해외 발주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그러한 투자개발형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국내 건설사가 수주권을 따낼 수 있을 지 우려도 있었다.
건설업계 또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프로젝트 발주가 되지 않은 건 유가하락의 영향이 가장 컸다”며 “통상 유가가 100불 정도 되면 생산성이 나온다고 보기 때문에, 물론 더 오르면 좋겠지만 이 정도 선에서도 중동이나 아프리카 쪽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외건설협회 이용광 실장은 “유가상승하면 중동 쪽에 발주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길기면서 발주가 활성화 될 것”이라며 “특히 이란이나 사우디 쪽으로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과거와 달리 최근 해외 발주 형태는 정부가 아닌 민간사업자를 통한 형태”라며 “국내 건설사의 경우 그러한 투자개발형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고, 단기적인 성과를 내야만 하는 현 CEO체제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해외수주를 잘 따낼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