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날씨가 부쩍 추워졌습니다.
쌀쌀한 날씨와 더불어 올라가는 것이 있는데요. 다름 아닌 심근경색 같은 심장 질환의 발병률입니다.
특히 아침과 저녁에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데요. 우리 신체가 급격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다보면 문제가 생깁니다.
기온이 내려가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은 상승합니다. 여기에 혈액의 점성도 커져 혈관을 막는 피떡 즉, 혈전이 생성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얇은 옷차림으로 추운 문밖으로 신문을 가지러 나가는 것도 조심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일교차가 1℃ 벌어질 때마다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2%씩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리포트>
겨울철 심장 질환에 대한 내용을 취재하기 위해 한 대학병원을 찾은 날, 인터뷰를 청했던 의사를 제 시간에 만날 수 없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심장에 무리가 온 환자들의 시술 건수가 늘어났기 때문이었습니다.
환자들은 가슴이 아프고 두근거린다거나 호흡 곤란, 구토 증세 등을 호소했습니다.
기온이 떨어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려고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때 혈관이 좁아지면서 나타나는 증상들인 겁니다.
고지혈증이 있다면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같은 지방질이 이미 혈관 벽에 쌓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고혈압 등의 기저질환도 더욱 주의가 필요한 시기가 바로 겨울철입니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심장 근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요.
대표적인 게 협심증과 심근경색입니다.
윤영원 교수 /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특히 급성심근경색증이 많이 늘어납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혈압의 변동폭이 커지다보니까 혈관 안에 플라크가 파열되는 일도 확실히 늘어나는 것 같거든요. 그래서 혈관 안에 혈전으로 혈관이 막히는, 관상동맥이 막히는 급성심근경색증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튜디오>
심근경색은 쉽게 말해 관상동맥이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는 겁니다.
병원에서 심근경색 검사와 중재시술이 이뤄질 수 있는데요.
중재시술이란 가슴을 절개하지 않고 영상장비를 이용해 혈관에 관을 넣어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것을 말합니다.
막힌 혈관을 찾아낸 뒤 혈관 안으로 도관을 삽입해 풍선으로 넓히고, 스탠트라는 철망을 넣어 혈관을 고치는 것이죠.
이어서 협심증은 심장 혈관이 좁아져 혈류가 저하됐을 때 나타납니다.
최근 5년 새 환자가 17%나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상태가 심하지 않으면 약물치료를 하고, 심하다면 약물치료와 함께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을 예방하려면 위험요인인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리포트>
한번 심장질환을 경험했다면, 재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심근경색을 겪은 환자의 30% 이상은 4년 이내에 재발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스탠트 시술 등 혈관 확장술을 받은 환자의 4명 중 1명꼴로 재시술을 받습니다.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저밀도 지단백,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게 중요합니다.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데시리터당 30㎎ 수준으로 떨어뜨리면 심장 질환 위험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 경험이 있는 고위험군이라면 LDL 콜레스테롤 관리는 필수적이라는 게 전문의의 설명입니다.
윤영원 교수 /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심장 혈관의 어느 곳이 50%, 60% 좁아졌다라고 하면 딱 거기만 좁아져 있을 리가 없거든요. 머리에 있는 혈관도 좁아질 수 있고, 다리에 있는 혈관도 좁아질 수 있고요. 혈관에 죽상경화성심질환이라고 흔히들 많이 알고 있는 동맥경화라고 하는 건데요. 그것은 혈관의 어느 한 군데만 있는 게 아니고 전신의 혈관에 다 있다고 보기 때문에 심장 혈관에 질환이 있는 사람은 뇌혈관질환의 위험도 같이 갖고 있는 것이고, 말초혈관질환의 위험도 같이 갖고 있습니다. 재발이 많다고 하는 것은 바로 그겁니다. 치료를 하면 치료한 부분은 괜찮지만, 다른 부분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심근경색이라든지 협심증을 치료한 분들은 국소적인 혈관이 막힌 데를 치료하는 게 치료의 전부가 아니고, 더 중요한 것은 전체적으로 몸에 혈전이 생기지 않게 하는 약을 복용한다든지 또는 콜레스테롤을 낮춰 이런 죽상경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치료가 더 중요한 거죠.”
<스튜디오>
심장병은 치료가 조금만 늦어져도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돌연사의 70%는 심장 질환이 원인이 되는데요.
근데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발생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우려가 더해지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급성 심근경색 진료 인원 10명 중 1명은 40대였습니다.
특히 40대 남성 환자는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30%나 증가했습니다.
40대부터 허혈성심장 질환을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그래서 나오는 것이죠.
이들 질환을 노인성 질환으로 치부하지 말고, 40대부터 혈압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관리할 필요가 있고, 또 증상이 발견되면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
※ 포털에서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 쿠키영상(goo.gl/xoa728)에서 시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