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 13일 금융분야의 데이터 경제 활성화가 금융산업을 금융소비자가 주도하는 환경으로 바꾸어 나갈 것으로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데이터 기반 금융혁신을 위한 신용정보법 공청회’에서 축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먼저 그는 금융분야에서 데이터 경제가 활성화될수록 기존의 ‘금융회사 위주’의 상품과 서비스가 ‘금융소비자’가 주도하는 모습으로 바뀌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최 위원장은 “구조가 복잡하고 내용이 어려운 금융상품의 특성상 금융소비자들은 자신에게 맞는 금융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데이터 기반의 금융혁신이 가속화됨에 따라 획일적·평균적인 금융상품은 점차 사라지고, 개개인의 선호·위험성향, 신용상황 등을 반영한 ‘맞춤형’ 금융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최 위원장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가 금융산업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산적·포용적 금융’으로 바뀌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기존의 금융데이터 위주의 신용평가로 인해 기존의 제도권 금융이 포용하지 못했던 청년층, 주부 등 금융이력이 부족했던 계층도 통신료 납부, 온라인 쇼핑, 디지털 행동패턴 등 다양한 비금융(非金融)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면 ‘더 낮은 금리’로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이야기했다.
최 위원장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가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발언했다.
그는 “신용정보법 개정안에 담겨 있는 마이데이터(MyData) 사업자,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 등 새로운 금융분야 데이터산업 Player의 출현은 창의적이며 전문성을 갖춘 우리 청·장년층에게 양질의 신규 일자리를 제공해 줄 것”이라며 “기존의 금융산업에서도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 등 데이터 전문가에 대한 일자리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종구 위원장은 “이제는 데이터 활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당면한 급박한 현실을 외면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 스스로 질문해 보아야 할 때”라면서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이 피할 수 없는 전 세계적 흐름이라면 막연한 불안감에 사로잡히기보다는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법 개정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