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나이가 들면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질환들이 있습니다.
오늘 전해드릴 척추관협착증도 노화로 인한 대표적 질환으로 꼽힙니다.
50대 이후 연령대에서 검사를 해보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이 척추관협착증을 안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요추부, 즉 허리뼈 쪽에서 협착 증세가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협착이란 어떤 공간이 정상적인 면적보다 좁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척추관이 좁아지면 통증은 물론 걷지 못하는 장애까지 일어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문의들은 말합니다.
<리포트>
척추관 주변은 뼈와 관절, 인대 등이 둘러싸고 있는데요.
이들 주변 조직은 시간이 지나면서 튀어나오거나 두꺼워지는 퇴행성 변화를 갖는데, 결국 이 과정에서 척추관이 압박을 받게 됩니다.
김종태 교수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척추신경외과
“이 그림은 척추를 옆으로 잘라서 위에서 내려다본 그림입니다. 앞쪽에 보이는 게 디스크라고 얘기하는 추간판 그리고 여기에 신경이 이렇게 들어있고, 후관절이라는 게 두 군데 있습니다. 여기에는 얇은 인대가 부착되는데요. 특별한 문제가 없는 정상적인 부분에서는 신경이 아주 편안하게 지나가는 구멍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추관협착증이 있으면 이런 추간판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뒤쪽으로 불룩하게 밀고나오게 되고 여기에서는 잘 보이지 않았던 인대가 커지면서 뒤쪽에서 신경을 누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 후관절 자체가 커지면서 양옆에서 누르게 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지게 되고 신경이 눌리게 됩니다.”
척추관은 뇌에서 시작된 신경 다발이 온몸으로 퍼져 나가는 통로입니다.
그 길이 좁아져 원활한 흐름에 지장이 생기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은 신경이 눌려 나타나는 허리 통증입니다.
허리디스크로 불리는 요추추간판탈출증과 그 증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들여다보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김종태 교수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척추신경외과
“협착증인 경우에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 퇴행성 변화로 인해 오는 것이기 때문에 나이가 50대 이후 노년층에서 더 호발하게 되고, 요추 디스크인 경우에는 추간판 자체의 탈출이기 때문에 조금 더 젊은 연령에서 올 수 있습니다. 또 증상 자체는 척추관협착증인 경우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신경인성파행이라고 해서 보행 시 주로 나타나는 통증이나 파행 등이 주된 증상이 되겠고, 요추간판탈출증은 물렁뼈 자체가 나와서 신경을 눌러버리기 때문에 허리 통증이나 엉덩이 통증, 다리 통증이 보행과 상관없이 계속 되는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의의 말처럼 ‘신경인성파행’은 척추관협착증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파행은 ‘절뚝거리며 걷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신경이 손상을 입어 제대로 걸을 수 없게 되는 상황에 놓이기 전에 치료를 서두를 필요가 있습니다.
<스튜디오>
걸을 때 특히 심해지는 협착증 통증은 서 있는 채로 쉴 때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습니다.
몸을 쪼그려 앉는다든지 허리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면 나아지는데요.
몸을 구부리면 척추를 누르는 여러 조직들이 일시적으로 펴지면서 압박 정도가 덜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연세 드신 분들이 무의식 중에 허리를 굽힌 채 걸으시는 것도 이런 영향이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검사에서는 자기공명영상촬영, MRI가 가장 중요한 진단법으로 쓰입니다.
척추 뼈를 여러 단면으로 나눠 자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경이나 디스크, 인대, 후관절 같은 주요 조직들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신경 중에서도 어느 신경이 증상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도 치료에 꼭 필요한 사항인데요.
근전도 검사로 각 신경 분절의 기능을 평가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리포트>
다만 검사 장비를 통한 객관적 결과가 똑같이 안 좋게 나왔더라도 환자가 말하는 자신의 상태에 따라 치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김종태 교수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척추신경외과
“동일한 MRI 소견을 보이더라도 어떤 분들은 굉장히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파행도 심하고 마비도 있을 수 있지만, 동일한 사진을 갖고 있는 분들 중에 전혀 통증이 없는 분들도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자가 어떤 상태에서 통증이 오는지, 얼마나 걸을 수 있는지 이런 것들을 파악하고 거기에 맞춰 진단을 내리고 치료 방침을 수술로 갈 것인지 약을 먹고 할 것인지, 운동만 할 것인지 등을 판단하는 데 있어 임상적 양상을 파악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일단 약물치료와 물리치료가 기본이 됩니다.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수술 전 단계에서 이뤄지는 신경 차단술이나 신경 성형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차단술과 성형술은 주사나 관을 이용해 신경 염증 부위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없애주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통증만 해결되면 더 이상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훼손이 심해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신경을 누르고 있는 인대, 후관절, 뼈 등의 조직을 제거해 신경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수술이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김종태 교수 /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척추신경외과
“절대 수술을 하지 말라는 견해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은 수술을 하지 않는 게 원칙이고 그게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수술을 하지 않게 되면 신경인성파행이 너무 심해져서 1, 2미터도 못 걷는 경우가 생긴다든지 하반신에 감각 마비가 와서 걷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든지 아주 심한 경우에는 다리에 마비가 와서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다든지 그리고 더 심해지는 경우에는 소대변의 장애가 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시기를 놓치면 안 되기 때문에 그런 것들은 유념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스튜디오>
척추관협착증이 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때문에 생기는 질환인 것은 맞지만, 최근에는 근무 환경이나 생활 형태가 좋지 않은 젊은층에서도 증가세를 그리고 있다고 합니다.
앞서 리포트에서는 나오지 않았지만, 전문의들은 제일 중요한 게 자세라고 강조했습니다.
생활 속 자세, 작업하는 자세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랫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준비 없이 드는 경우, 몸을 비틀거나 숙인 채로 작업을 계속하는 등의 상황은 협착증이 나이에 비해 심하게 진행될 가능성을 키웁니다.
더불어 몸을 풀어주는 운동으로 스트레칭이나 체조를 한다든지 아니면 걷기, 수영 등을 꾸준히 하면 질환의 진행을 막고, 통증도 많이 덜어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
※ 포털에서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 쿠키영상(goo.gl/xoa728)을 통해 시청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