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13부동산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시장은 안정적인 하향세로 접어들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대책 전후 거래가격이 변동한 주택을 비교분석한 결과, 92.7%가량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락한 주택형은 7.0%로 대책 이후 하락과 약세를 보이는 시세상황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8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실거래가를 비교 분석(2018년 1월~8월 대비 2018년 9월~2019년)한 결과, 가격이 떨어진 주택형은 전국 44.2%로 나타났다.
2017년 대비 2018년 1월~8월은 전국 40.6%의 주택형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9·13 이후 가격 하락 주택형은 3.6%p 증가에 그쳤다. 동기간 하락 주택형 변화는 수도권이 26.8%에서 29.2%로 2.4%p 증가했고, 지방은 54.7%에서 57.6%로 2.9%p 증가했다.
9.13대책 이후 시기를 2018년과 2019년으로 구분해 대책 이전 2018년의 거래가격과 비교하면 2019년 들어서 가격 하락 주택형 비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2018년 1월~8월 거래가격 대비 2018년 9월~12월 거래가격이 하락한 주택형 비중은 40.9%에서 2018년 1월~8월 거래가격 대비 2019년 거래가격 하락 비중은 53.7%로 12.8%p 늘어났다.
특히 동기간 수도권은 26.6%에서 42.2%로 15.6%p 증가해 지방 7.2%p(54.3%→61.5%)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수도권은 절반 이상의 주택형이 상승했다.
2018년 1월~8월 대비 2018년 9월~2019년 거래가격 변동 주택형 비중은 서울의 경우 92.7%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락한 주택형은 7.0%로 9·13대책 이후 하락과 약세를 보이는 시세상황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그 외 인천 53.7%, 경기 61.7%의 아파트 주택형의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거래가격 상승이 유지됐다.
지방광역시는 부산과 울산이 70% 이상 주택형의 거래가격 하락이 이뤄졌다. 그 외 지역은 절반 이상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의 경우 78.9%의 주택형이 9·13대책 이후에도 상승해 서울 다음으로 상승 비중이 높았다.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은 세종과 전남에서 절반 이상의 주택형이 상승했고, 그 외 지역은 하락 비중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직방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 변화로 시장환경이 변하고 그에 따라 기존의 매도자와 매수자의 상황판단이 달라지면서 시장 과도기가 발생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현재 정부의 정책 의도는 반영되는 모습이다. 급격한 가격 하락보다는 연착륙을 유도하고, 가격의 안정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가격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급격한 거래 감소에 대해 과도한 반응을 보일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의 거래 감소는 수요뿐 아니라 매도자 측면에서도 원인이 있다. 매도자의 보유 부담이 금융비용 증가 등으로 커지지 않을 경우 매도자가 매수자의 희망 가격을 수용하지 않아 거래 위축이 더 길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공시지가 인상에 따른 보유세 부담이 현실화되는 6월 이후 매도자의 의사 결정에 따라 거래시장은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