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생명안전공원, 일상적 추모 공간될까…전문가 “접근성·시민참여 보장해야”

4·16 생명안전공원, 일상적 추모 공간될까…전문가 “접근성·시민참여 보장해야”

기사승인 2019-04-24 17:49:44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4·16 생명안전공원(추모공원)은 어떠한 모습으로 조성돼야 할까.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 전문가 등이 추모공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회적참사 특조위)는 24일 오후 ‘제2회 사회적참사 피해지원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의 주제는 ‘피해지원으로서 추모사업의 의미와 방향’이다.

이날 전문가는 추모공원이 갖는 사회적 성찰과 치유 기능을 강조했다. 김명희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추모 사업은 희생자의 죽음이 지닌 사회적 의미에 대해 인정을 받고 피해자의 명예를 찾고자 하는 회복의 과정”이라며 “추모공원 조성 등을 통해 4·16 참사에 대한 거짓말이나 헤이트 스피치로부터 피해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상적인 추모 장소로 조성돼야 한다는 언급도 있었다. 특별한 기념일에만 찾아가거나 접근이 어려워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김민환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교수는 “추모공원은 기존 추모시설과 달리 도심 한복판에서 일상적으로 기억을 허용하는 장소가 돼야 한다”며 “사회적 참사를 기억하는 단계에서 성찰의 기회로 확대될 수 있는 계기”라고 밝혔다. 이어 “추모공원을 통해 희생자들과 유가족, 참사에 분노하고 슬퍼했던 ‘우리들’을 기억해야 한다”며 “(세월호 참사로 인해 불거진) 사회의 균열과 참담함, 부끄러움을 기억해야 한다. (유가족의) 고통과 아픔에 대해 공감했던 경험을 잊지 않아야 세월호를 온전히 기억하는 일이 된다”고 설명했다.

김소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도 “그동안 추모공간은 일상성을 잃고 국가적 이벤트나 역사적 사건을 기리는 기념비적 공간의 성격을 가졌다”면서 “현대 도시에서 추모공간은 일상 시설로서 지역 주민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때 가치가 확산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김소라 교수는 지난 2012년 총기난사가 발생했던 미국 코네티컷주 뉴타운 샌디훅 초등학교의 재건축 등을 예로 제시했다. 뉴타운 지역사회는 참사 이후 학교를 폐쇄했으나 공론화를 거쳐 학교를 모두 철거하고 재건축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유가족들은 자신들의 아픔을 직접 드러내면서 치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세월호 유가족은 향후 추모공원이 배움과 성찰, 위로, 공감의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자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추모부서장은 “추모공원은 미안함에 한 번 다녀가는 곳이 아니라 안전과 생명 존중을 성찰하는 배움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삶에 지쳐 힘들어하는 시민과 세월호 가족이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의 삶에 위로를 줄 수 장소가 되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다만 추모공원 조성을 둘러싼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언급됐다. 신혜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는 “그동안 추모공간 조성을 두고 피해당사자와 주변 주민, 상인, 정치인 간의 무수한 갈등이 야기됐다”며 “광주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처럼 갈등 해결이 지지부진한 경우도 부지기수”라고 말했다. 세월호 추모공원 또한 일부 지역사회의 반대로 인해 설립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정부는 지난 2월 경기 안산 화랑유원지 남측에 추모공원을 설립하는 안을 확정, 발표했다. 추모공원은 오는 2020년 설계 공모를 거쳐 오는 2022년 하반기 완공될 예정이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