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이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와 산업계, 시민 단체 간 노력을 강조했다.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12층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2019 국민일보·쿠키뉴스 미래의학포럼(Future Medicine & Bio-Health Forum 2019)’에서 “바이오헬스는 고령화 사회, 의료비 증가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OECD에서 가장 빠르다”며 이 같이 밝혔다.
미래의학포럼은 지난 2016년부터 국민일보와 쿠키뉴스가 주최·주관해 보건의료산업 분야의 현안과 과제, 제안을 민·관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로 4회째. 이번 포럼은 ‘바이오 헬스산업 혁신방향,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마련됐다.
‘바이오헬스산업의 미래와 도전 과제’란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 이 단장은 미국 필라델피아 제퍼슨 대학의 바이오벤처기업 성공 사례를 거론하며 “어느 나라나 바이오헬스의 가치는 높다”며 “미국은 ‘21세기 치료법’과 ‘정밀의료 이니셔티브’ 등을 추진 중이며, 일본의 경우 연구관리기구를 합친 ‘AMED’ 설립 및 ‘재생의료법’을, 영국은 100K 게놈프로젝트를 확대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해 생태계의 ‘관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생태계 관점에서 보면 바이오벤처가 있고 그 아이디어를 흡수해 제품화 하는 기존 기업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면서 “기업들은 기초연구 및 기업이 수행할 수 없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다양한 아이디어, 기술 제공 대학 등 출연연 등을 중시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 및 민간의 장기간 연구 투자와 정책 거버넌스, 규제 및 보험 당국, 의료기관 등을 묶어 바이오헬스 생태계를 이루는 하나의 생태계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의 엄격한 기준 설정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그는 “느슨하고 약한 규제는 불가역적인 사고를 불러올 수 있고, 이는 엄청난 경제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경고했다. 다만, “기술발전과 동떨어진 규제는 국민의 삶의 질과 산업발전을 저해할 수 있어 기술발전과 시대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현황도 고무적이다. 물론 글로벌 거대기업과 비교해 우리 기업이 가야할 길은 멀지만, 여러 수치들이 과거보다 개선되고 있다는 것. 이 단장은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다”며 “2017년 기준 수출 비율은 전년보다 25.31% 증가한 1조5471억 원에 달했다. 해외 기술수출도 지난해 총 10건으로 41억8765만 달러 규모”라고 밝혔다. 선도 기업들은 동아에스티, SK케미칼, 크리스탈지노믹스 등이며, 최근 유한양행도 괄목할 만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해 이 단장은 ▲개방형 혁신 다각화 ▲기업 간 파트너십을 위한 정보교류·투자유치 및 타 분야와의 협업 ▲인허가 제도 정비 ▲사후 규제 ▲전문 인력 양성 ▲지원 부처 일원화 등을 제시했다.
이 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정부와 산업계, 시민사회단체간 유기적 대화를 촉구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