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김삼화 원내부대표는 23일 국회 본청 218호에서 열린 제50차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전기위원회가 지난 18일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허가함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한수원은 이번 발전사업 허가를 계기로 내년부터 2022년까지 300MW규모 수상태양광 건설과 2.1GW 전력계통 연계사업을 담당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새만금 2.1GW 수상태양광 발전단지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9.6배에 달하는 규모로 추진되는 역대 최대 프로젝트이다. 하지만 새만금 태양광은 석탄이나 원전과 연료만 다를 뿐 원전 2기 용량의 대규모발전소여서 역시 고압 송전탑을 건설해야 한다. 정부는 그동안 분산형 전원은 수요지 인근에 위치해 송전탑이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강조해 왔는데, 이러한 주장의 근거가 무색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부대표는 “특히 이 지역은 이미 새만금 송전선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한바탕 홍역을 치른 바 있다. 군산 변전소에서 새만금 변전소까지 30.6㎞ 구간에 345㎸급 송전탑 88기를 건설하는 사업이 주민들과 극심한 갈등을 겪으며 2016년 말 완공되기까지 무려 8년이란 시간이 걸린 바 있다. 따라서 주민들이 또 다시 반발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이러다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고도 가동을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전은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할 때 전력계통 여유 지역에 짓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태양광 발전소들이 상대적으로 땅값이 저렴한 전남북 지역으로 쏠리면서 이미 이 지역의 전력계통 시설은 포화 상태에 다다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원내부대표는 “앞으로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보다 전기저장장치와 전력계통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비용이 훨씬 더 많이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무리하게 신재생에너지 보급에만 신경 쓸 게 아니라 계통과 비용 등을 고려해 에너지 정책을 손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