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강제동원을 둘러싼 한일 간의 갈등과 관련해, 해결책이 나올 때까지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임하지 않을 방침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29일 연합뉴스는 일본 산케이신문을 인용해 “일본 정부는 한국정부가 ‘건설적인’ 대응책을 제시하지 않는 한 한일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산케이는 일본 내에서 극우성향의 매체다.
연내 한일 정상이 마주할 수 있는 주요 국제회의는 오는 9월 하순의 유엔총회, 오는 10월31~11월4일 태국에서 열리는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한·중·일) 정상회담, 오는 11월16일~17일 칠레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등이다.
우리 정부 역시 물러나지 않는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2019년 예정됐던 여름휴가를 취소했다. 오는 2일까지 휴가가 예정돼 있었지만 집무실에서 정상 근무한다는 방침이다.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 산적한 현안의 해법을 찾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여당 원내대표단과의 오찬 자리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초당적 협력 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해) 국민들과 함께 분노하고 걱정해야겠지만 희망과 자신감을 드릴 수 있도록 협치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일 반도체 소재를 한국으로 수출하는 규정을 까다롭게 고쳤다. 일본 정부는 ‘한국과의 신뢰관계 훼손’, ‘수출 관리를 둘러싸고 부적절한 사안 발생’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지난해 10월 일본 전범기업이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1억원씩 배상하라는 대법원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정치보복이라는 점을 설명했다. 정부는 WTO에 일본 측을 제소할 방침이다. 일본은 다음 달 초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것을 준비 중으로 알려졌다. 화이트리스트는 전략물자 수출시 절차를 간소화한 대상국가 목록이다. 해당 목록에서 제외되면 일본으로부터 물품을 수입하는 절차가 복잡해진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