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생각으로 컴퓨터에 글자 입력’ …페이스북 관련 연구 성과

‘생각으로 컴퓨터에 글자 입력’ …페이스북 관련 연구 성과

기사승인 2019-07-31 09:46:12 업데이트 2019-07-31 09:46:18

글로벌 소셜미디어 기업 페이스북이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글자를 입력하는 기술에서 성과를 냈다고 CNN·CNBC 방송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이날 사람들이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비(非)삽입형 웨어러블(착용형) 기기 개발에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비삽입형이란 수술을 통해  기기를 체내에 이식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페이스북은 2017년 개발자 콘퍼런스 'F8'에서 이 기술에 대한 구상을 처음 공개한 뒤 장기 제품·기기 연구부서인 '리얼리티 랩스'를 통해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캠퍼스(UCSF) 등 여러 대학과 합동 연구를 벌여왔다.

이번 연구 성과에 대해 자세히 실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저널에 따르면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한 세 명의 간질 환자 뇌에 전극을 심은 뒤 이들이 두뇌 활동만으로 컴퓨터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환자가 생각한 내용이 단어나 문구로 컴퓨터 화면에 곧장 문자로 전환돼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간으로 뇌파에서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해독해낼 수 있었다는 얘기다.

다만 내용은 몇 가지 질문들에 대한 응답으로 제한됐고, 머릿속에 떠올린 언어를 해독하는 알고리즘의 정확도는 61%에 그쳤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에드워드 챙은 이번 연구 결과가 "생각의 증거"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이번 연구 결과가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같은 심각한 뇌 손상 후 말을 할 수 없게 된 환자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페이스북이 추진 중인 증강현실(AR) 안경 개발과도 더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고 CNBC는 전했다.

페이스북 AR/VR 부문 부사장 앤드루 보즈워스는 이날 트위터에 "우리가 거둔 진전은 미래 AR 안경에 대한 신호 입력이나 상호작용이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썼다.

다만 페이스북은 이 기술이 곧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것으로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상용화 단계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의미다. 페이스북은 "이 기기는 현재 너무 크고 느리고 믿을 만하지 않다"면서도 "하지만 그 잠재력은 엄청나서 우리는 이 첨단 기술을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시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인간 두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 생각으로 컴퓨터를 작동시키려는 시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도 도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머스크는 이달 초 자신이 투자한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개발에 진척을 이뤘다며 내년 중 사람을 상대로 한 실험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안나 기자 lan@kukinews.com

이안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에 ‘페이커’ 끌어들이기?…김문수, 사진 무단 도용 논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2030 세대와 e스포츠 상징인 ‘페이커’ 이상혁의 사진을 무단 사용했다. 이상혁의 소속 구단인 T1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김 후보는 지난 5일 자신의 공식 X(구 트위터)에 이상혁의 시그니처 세리머니인 ‘쉿’ 포즈를 따라 한 프로필 사진을 게시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상혁이 같은 포즈를 취한 사진도 함께 올라와 동일한 구도를 연출했다.‘쉿’ 세리머니는 한국조폐공사의 ‘페이커 기념메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