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분유 시장 커지는데…겹겹이 규제에 속 타는 국내 업체

中 분유 시장 커지는데…겹겹이 규제에 속 타는 국내 업체

기사승인 2019-09-05 04:00:00


국내 업체들의 대(對) 중국 분유 수출이 주춤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당국이 분유 등을 관리 강화대상으로 직접 언급하면서 규제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4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중국의 영유아 분유 시장 규모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감소 추세 없이 연속으로 증가해 5년간 평균 시장 성장률은 약 17.29%를 기록했다. 특히 2017년 약 27조9000억원에서 2018년 약 33조8000억원으로 21.2% 성장했다. 이는 4500억원 수준인 국내 시장의 9배에 가까운 규모다.

해외 수입 분유 시장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상위 10개국의 전체 수입액은 5조76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8% 증가했다.

중국 내 수입 분유의 득세는 멜라민 분유 파동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2008년 싼루(三鹿), 이리(伊利), 성위안(聖元) 등 대다수의 중국산 유아용 분유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 이밖에 스위스 네슬레, 프랑스 다농 등 외국 유가공 회사의 중국 합작회사에서 생산된 분유에서도 멜라닌이 검출됐다. 멜라민 분유 파동으로 최소 6명의 영유아가 숨지고, 30만명이 신장결석 등으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사건으로 인해 중국 내에서 자국 분유 브랜드의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뉴질랜드와 호주 등 외국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게 된 셈이다. 

실제로 2018년 기준 중국 내 분유 상위 10개 수입 국가는 네덜란드, 뉴질랜드,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 덴마크, 호주, 스위스, 한국, 폴란드 순이다. 네덜란드의 중국 내 분유 수입액은 16억2800만불, 우리 돈으로 약 2조원대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경우 930억원 수준이다. 

수입 분유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한국산 분유의 성장은 더디기만하다. 한국무역협회 수출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대중국 분유 수출액은 약 494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연간 증가율 29.3%에 비하면 크게 감소한 수준이다. 

분유 조제법 등록제로 인해 수출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도 족쇄다. 중국은 지난해 1월 1일부로 분유 조제법 등록제를 시행했다. 해당 법에 따라 중국 분유 수입업체는 미리 ‘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에 제품라벨 등록과 수출입업체, 배합비 등을 등록해야 한다. 관계자가 직접 해외 업체 공장을 실사한 뒤 1개 공장당 3개 브랜드에 한해 허가를 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제품 카테고리 다변화가 어렵고,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다. 

지난 5월 중국 당국이 발표한 식품안전관리 규정 강화계획도 문제다. 해당 계획은 식품산업 발전, 안전기준체계 마련, 관리감독 수준 강화, 주요 식품군 안전성 규제 등 자국민의 식생활 안전 보장을 핵심으로 한다. 

또한 해당 계획에서 영유아 분유와 건강기능식품을 관리 강화대상으로 직접 언급됐다. 수입제품에 대한 규제 강화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중국 목장과 제조업체에서 생산하는 분유 품질이 고도화되면서 중국 소비자들의 자국 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점도 악재다. 

이는 신조제분유법에 따른 목장·제조업체 개편 반사효과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08년 당시 220여만개에 달했던 중국 내 우유목장은 최근 120만개까지 줄어들었다. 유제품 기업과 영유아분유 제조 기업도 같은 기간 각각 3000개에서 450개, 300여개에서 90여개로 급감했다.

사라진 영세 조제분유 기업은 거대기업에 흡수돼 조제분유 품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특히 과거 문제가 됐었던 멜라닌 등 금지성분에 관한 품질 합격률이 9년 연속 100%를 기록하며 안전성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70%에 달했던 수입 분유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56%로 감소됐다. 

업계 관계자는 “신생아 수가 줄어들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 중국 분유 시장은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시장”이라면서 “이 때문에 분유 제조 업체들은 프리미엄 등 차별화를 통한 공략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한국 제품이 중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일부인 데다 여러 규제가 예정돼있어 쉽지만은 않다”면서 “상황을 예의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