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미향 전국보건교사회장이 학교에서 결핵 환자 한 명만 발생해도 비상사태라면서 학생들의 보건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결핵 퇴치를 위한 잠복 결핵의 선제적 대응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차 회장은 “학생들에 대한 보건교육 강화와 정부의 인프라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차 회장에 따르면, 학생들이 온종일 학교에 머무는 만큼 결핵 환자가 한 명만 발생해도 집단 발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 교사 및 교직원도 결핵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등 감염 관리에 힘쓰고 있다는 게 차 회장의 설명이다.
지난 2017년 교육부에서 결핵안심국가 사업 일환으로 시행한 잠복결핵 검진 결과 양성률이 2.1%였다. 이에 대해 차 회장은 “학교에서의 보건교육으로 인해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이라면서도 “시행 과정에서 대상자 수가 많다 보니 검체 변경의 우려도 있었고 학부모의 민원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결핵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검진에 걸림돌로 작용했다는 이야기다.
만약 학생이 결핵 등 감염병에 걸려도 입시 등을 이유로 병을 숨기는 일도 적지않다. 이들을 위한 별도의 시험장이 필요하지만 여건상 마련이 어려울 때가 많다. 차 회장은 “학생들은 잠복결핵 판정을 받아도 학업을 이어가고자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치료약의 부작용인 위장장애 등으로 대학진학 이후 치료를 받겠다는 학생도 많아 새로운 잠복결핵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학교에 결핵 등 감염병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보건소와 함께 역학조사를 거쳐 환자 파악 및 관리가 실시된다. 교직원들은 민원전화·방역 환자 관리 등으로 과도한 업무량에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업무지원도 필요한 이유다.
때문에 적절한 ‘보건 교육’이 예방에 선결조건이라는 것이 차 회장의 설명이다. 그는 “최근 한 중학교에서 결핵 환자가 발생했었다. 그 이후 손 씻기 교육, 가정통신문 발송 등으로 여러 조치를 진행하니 주변 학교에 비해 독감환자가 10분의 1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 상대적으로 잠복결핵 양성률이 높은 학교의 보건교사 배치율이 낮았다. 제대로 교육하고 관리한다면 결핵에 대한 선제 예방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