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정지 환자를 위한 ‘자동심장충격기(AED)’ 보급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교육이나 홍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AED란,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 제대로 된 심장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의료기기다. 환자의 심박동 측정 및 제세동 필요 상황 파악도 가능하다. 지난 2017년까지는 ‘자동제새동기’라고 불렸지만, 최근 ‘자동심장충격기’로 이름이 바뀌었다.
응급사태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설치가 확대되고 있지만, 국민들에게 이 의료기기는 여전히 낯설다. 이러한 실상은 국회에서도 지적됐다. 지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AED 설치가 4년 새 2배가 증가했지만, 교육·홍보가 미비해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남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반인 심정지 목격 대비 AED 사용현황은 2014년 0.07%에서 2017년 0.40%로 늘었다. 두 배 이상 확대 설치된 수에 비해 사용률은 저조했다.
참고로 AED는 ▲공공보건의료기관 ▲구급대에서 운용 중인 구급차 ▲여객항공기 ▲철도차량 중 객차 ▲20톤 이상 선박 ▲500세대 이상 공공주택 ▲철도역사의 대합실 중 연면적이 2000㎡이상 이거나 전년도 일일 평균이용객수 1만명 이상의 대합실 ▲경마장·경주장 ▲교도소·소년원 ▲중앙행정기관 청사 및 시도 청사 등은 의무설치하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일정 규격의 보관함에 보관하게 돼 있다.
AED의 관리는 복지부가 전체 관리운영 체계를 총괄하고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전문위원회에서 세부 설치 및 관리운영방안의 수립을 자문한다. 시·도에서는 관내 AED 사용자 교육 및 홍보, AED 설치 지원 역할을 맡는다.
복지부는 연평균 70만명을 대상으로 AED 사용법과 함께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시만 70만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히는 등 실제 교육이 어느 정도로 진행되는지 파악이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올해 7370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고, 대구는 1만5000명, 광주는 1만2000명을 목표치로 두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은 주로 각 지역별 권역응급의료센터나 소방센터에서 위탁해 진행되고 있다.
남 의원은 “AED를 즉시 사용할 만큼 많이 배치되지도 않았고 배치돼 있더라도 활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 빈도가 낮은 것”이라며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실습용 교구가 필수인데 서울은 14개, 세종은 5개, 부산은 318개가 보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보급현황이 이 정도인지, 복지부가 현황 파악을 제대로 못 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 응급의료과 관계자는 “실제 교육 인원이나 교구 현황 파악에 미진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국비와 연계된 사업의 교육 인원은 연 70만명이 맞다. 민간이나 지자체 별도의 교육 사업에 대해서는 파악하면 더 많을 것이다. 교구 현황 파악에 대해선 의원실의 자료 요구에 명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하고 임의로 해석해 보고한 시·도도 있었다. 보고된 숫자로는 제대로 된 교육이 될 리 없다. 현황을 파악하고 교구가 부족한 지역은 그에 맞게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AED를 사용하지 못한다면 아무런 쓸모없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AED에 대한 거리감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 직접 사용할 줄 알도록 하는 게 교육의 목적이다. KTX 등에서 홍보 동영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