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사의 지난 3분기(7~9월) 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4분의 3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에서 손해율이 급등한 영향 때문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보·현대해상·KB손보·메리츠화재·한화손보·롯데손보·흥국화재·농협손보 등 9개사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5021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6950억원)보다 27.8% 줄었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는 3분기 순익이 전년동기보다 32.6% 줄었다. DB손보(-19.2%), 현대해상(-28.3%)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어 롯데손보는 지난해 3분기 209억원의 순익을 거뒀으나 이번 3분기에는 54억원 적자를 냈다. 흥국화재는 91억원에 그쳤다. 농협손보는 1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메리츠화재만이 유일하게 이번 3분기 실적이 개선됐다. 같은 기간 순익 규모가 729억원에서 766억원으로 5.0% 증가했다.
10월 자동차 손해율을 가집계한 결과 100%가 넘었다. 자동차 정비 수가 인상과 태풍 피해 등에 따라 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 또 장기보험에서는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보험사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다.
업계 상위사인 현대해상은 3분기에 자동차 손해율이 전년 동기 대비로 7.4%p 올랐으나 장기보험의 위험손해율은 그보다 많은 11.9%p나 상승했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한 이른바 '문재인 케어'로 의료 이용이 전반적으로 늘어났을 뿐 아니라 건강보험에서 보장해주지 않는 비급여 항목 진료가 늘어나 손해율이 상승했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일선 병원에서 급여 항목 증대로 감소한 수익을 보충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비급여 항목을 늘리고 있다며 비급여 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업계는 요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보험과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높은 수준”이라며 “장기보험에서는 경쟁으로 인해 사업비가 오른 측면도 있지만 손해율이 높아 적자가 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진수 기자 rokmc439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