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일 (목)
“중부권 스마트 제조 혁신 통해 메이커 문화도시 구축한다”

“중부권 스마트 제조 혁신 통해 메이커 문화도시 구축한다”

기사승인 2020-03-02 08:25:11 업데이트 2020-03-02 08:31:55

 지역 제조업 생태계 고도화 · 메이커 문화 확산의 중추적 역할 기대

[대전=쿠키뉴스] 최문갑 기자 =중부권 스마트 제조 혁신을 통한 메이커 문화도시 구축을 목표로 한 대전전문랩(DID기술융합공작소)이 구 충남도청사 별관에 메이커 스페이스(전문랩)를 갖추고 28일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대전전문랩은 이날 오전 구 충남도청사 별관에서 DID(Digital Factory In Daejeon)기술융합공작소 개소식을 코로나19 사태로 대전전문랩의 주관기관인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참여기관인 대전시와 (주)따뜻한메이커연구소 관계자들만 참석한 가운데 약식으로 가졌다.

대전전문랩의 메이커 스페이스 전용면적은 구 충남도청사 별관 1~4층 및 옥상층 등 총 3,285.16㎡에 달하는 대규모 공간이다. 대전전문랩은 지난해 5월 전문랩 사업이 확정된 이후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 일부 시설 보강공사를 마치고 이날 문을 열었다. 


대전전문랩의 본격 가동으로 메이커 문화 저변 확대 및 역량 강화, 메이커 플랫폼 구축·운영 및 생태계 조성, 지속적 공유 혁신 체계 구축 및 운영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전전문랩은 대전·충청·세종 지역 메이커 문화 확산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사업화와 창업으로 이어지게 하는 중심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이커 문화 저변 확대 및 역량 강화를 위해 대전전문랩은 전문교육 및 훈련, 커뮤니티 구성 및 운영, 메이커 문화 확산,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맨토링 등을 추진한다. 

또, 메이커 플랫폼 구축·운영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전문랩 구축, 시제품 제작 지원, 금형 사출 및 SMT(표면실장기술) 지원, 시험 및 검증, 기술고도화, 전문랩 홍보, 안정적 서비스 등을 본격화 한다. 

지속적 공유 혁신 체계 구축 및 운영 차원에서는 일반랩·민간 메이커 스페이스 연계, 유통·마케팅·투자·판로개척 지원, 외부 협력기관 연계, 해외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을 중점 추진한다. 

대전전문랩 운영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전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따뜻한메이커연구소 등이 참여, 각기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중소벤처기업부는 전문랩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정책 수립과 예산 지원을, 창업진흥원은 관리기관으로 사업 공고 및 관리를, ETRI는 주관기관으로 메이커들의 창조적 혁신 활동 촉진, 스마트 제조 활성화, 지역연계 일자리 창출 및 제조 창업 활성화 총괄업무 등을 맡는다.

또한 대전시는 참여기관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 제공 및 시설·예산 지원을,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는 역시 참여기관으로 사업화 컨설팅 및 멘토링, 투자연계 지원, 장비 구매 및 환경구축 등 역할을 수행한다. ㈜따뜻한메이커연구소도 참여기관으로 메이커 장비 운영 교육 및 컨설팅, 장비운용 및 유지 관리, 메이커 행사 지원 등을 맡는다.

대전전문랩 사업총괄책임자인 이재기 ETRI 책임연구원은 개소식 축사에서 “대전전문랩은 제조창업 지원을 위한 스마트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이라는 목표를 갖고 전문 메이커 발굴 및 육성, 제조업 창업 및 문화 확산을 통해 제조기술을 혁신함으로써 스마트제조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전전문랩은 ETRI의 축적된 노하우와 우수한 기술지원인력을 활용해 실무위주의 질 높은 멘토링과 컨설팅으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타 메이커 스페이스와의 차별성과 우수성을 갖고 운영할 것”이라며 “대전·충청·세종 등 중부권 제조업 생태계의 고도화와 창업 저변 확대, 일자리 창출, 나아가 국가 제조기술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이자 장사 끝?…금융권, 대선 후폭풍에 벌벌

올해 1분기에만 5조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거둔 금융권의 속내가 복잡하다. 경기 침체에 따른 민심 악화와 조기 대선 정국이 맞물리며, 정치권의 압박 수위가 갈수록 거세질 것이란 우려에서다.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4조928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분기(4조2215억원) 대비 7074억원(16.8%) 증가한 수치다. 금리 인하기임에도 이자 수익은 10조6000억원을 훌쩍 넘겼다. 4대 은행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