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8일 (일)
美 연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글로벌 시장 영향 촉각

美 연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글로벌 시장 영향 촉각

기사승인 2020-03-16 14:21:34 업데이트 2020-03-16 14:22:28

[쿠키뉴스] 서유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사실상 제로금리수준으로 인하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되고 있다고 16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16일 연준의 기습 조치에 대해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 수준의 강력한 대응이라고 평가하는 한편 기업에 대한 직접 자금 지원이 빠지면서 시장 불안이 계속되고 있다연준이 앞으로 최후의 카드인 기업 직접 자금 자원에 나설 경우 국내외 증시가 급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앞서 연준은 15(현지시간)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1.00%~1.25%에서 0,00%~0.25%1%포인트 인하했다. 7000억 달러(853조원) 규모의 국채·주택저당증권(MBS)를 매입, 사실상의 양적완화(QE)에 착수하고 유럽중앙은행(ECB)등의 세계 5개 중앙은행과 공조해 달러 스와프 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는 등 전 세계 달러 유동성을 개선하기로 했다.

이에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리를 제로금리 수준으로 낮춘 점, QE 규모가 지난 2차 양적완화(QE2) 당시의 6천억 달러를 넘어서는 점 등은 연준이 현 상황을 금융위기에 준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준의 과감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장 불안은 가시지 않는 분위기다. 연준의 발표 직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선물은 4% 이상 급락했다.

이에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조치가 코로나19로 인한 금융 불안의 원천인 기업 신용 리스크를 해소하는 데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하며 당장 필요한 것은 기업 신용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연준의 직접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연준이 회사채·기업어음(CP)등을 매입하거나 기업에 대해 직접적인 자금지원을 시도하는 것이 시장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코로나19의 본질은 기업 현금흐름의 문제라며 일각의 예상처럼 연준이 CP 매입에 나서면 타격을 받은 기업 현금 흐름을 곧바로 메워줄 수 있어 매우 적절한 조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westglass@kukinews.com

서유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검찰, ‘홈플러스 사태’ 김병주 MBK회장 귀국길 휴대폰 압수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도 대규모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1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은 전날 오후 영국 런던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김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김 회장의 휴대전화 등 수사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8일 특정경제범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