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코로나19사태 장기화에 따라 국내에서 ‘집단면역(herd immunity)’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이목이 쏠린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참고로, 집단면역이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될 수 있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수는 없다고 조언하고 있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은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19와 관련해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의 수준이 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면역력을 갖추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는 ‘예방접종’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는 백신이 현재 개발되지 않았고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예방접종 없이 면역력을 얻으려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나아야 한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 집단면역이 형성되게 하기 위해선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과 같이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의료시스템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환자가 발생하는 수준으로 유행을 통제해야 한다고 말한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단면역이 형성되려면 많은 사람이 걸려야 하는데 고위험군의 경우 사망이 속출할 수 있다”며 “큰 유행이 몰아치면 그만큼 종식이 빨리 되겠지만 이런 방역대책을 택할 순 없다”고 설명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