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지난해 기준 최저임금 적용제외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급여가 최저임금의 40%도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 10만원에서 30만원을 받는 근로자가 3619명(29.9%)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미래통합당 김예지 의원이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근로자 임금 현황’에 따르면 ‘최저임금대비 최저임금 적용제외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 시급’은 2017년 41.4%, 2018년 38.1%, 2019년 36.6%로 지속적 하락세를 보였다. 최저임금법 7조에 따라 정신장애나 신체장애로 근로 능력이 낮다고 평가된 사람은 최저임금법 적용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자료에 따르면 서울 A직업재활시설의 경우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 시급이 약 250원으로 조사됐고, 경북 B직업재활시설의 경우 한 달 200시간이 넘는 근무시간에도 월급이 10만 원 남짓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시급으로 계산하면 478원에 불과하다. 조사에 따르면 한 달 10만 원에서 30만 원 사이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는 3,619명(29.9%)으로 전체 중증 장애인 근로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10만 원도 받지 못하는 중증 장애인 근로자가 496명(4.1%)이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밝힌 평가 기준에 따르면, 평가 지표가 되는 ‘기준노동자’의 작업능력 대비 70%를 충족하는 장애인 근로자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을 수 있지만,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단순히 ‘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최저임금 적용제외 판정을 받을 경우와 비슷하게 낮은 임금을 받을 수밖에 없다.
물론 임금 지불의 주체는 직업재활시설이지만,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직업재활시설은 돌봄활동과 직업재활교육을 제공하는 비영리기관이고, 중증 장애인의 낮은 생산성으로는 시설의 수익 창출을 기대하기 힘들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 비난하기 힘들다.
정부는 지난해 말, 직업재활시설 등에 지급되는 고용지원금 일부를 장애인 처우 개선에 사용하도록 하고, 고용 전환 촉진프로그램과 훈련수당 상향, 숙련도가 높은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의 정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문제의 근본 원인인 최저임금법 적용제외 조항이 개정되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현장에서 이어지고 있다.
김예지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환경’이 대통령 취임 3년 차인 현재 더욱 멀게만 느껴진다” 면서 “OECD 국가 중 한국처럼 최저임금 적용제외 대상을 규정하는 나라는 한국 등 3개 국가뿐이다. 다른 선진국들은 장애인별 생산성에 따라 임금을 차등 지급하고 국가가 보조금을 지원하거나,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별도의 최저임금 기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0년 오늘, 대한민국 국민 누군가는 250원의 시급을 받으며 일하고 있다, 한 끼 밥값도 안 되는 일당을 받는 장애인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법은 존재하되 존재하지 않는 법”이라며 “국가와 최저임금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중증 장애인 근로자들 또한 자신의 근로 능력을 고려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할 수 있는 급여 수준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