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국감] "집주인 절반 이상, 금융자산으로 전셋값 빼 줄수 있다"

[2020 국감] "집주인 절반 이상, 금융자산으로 전셋값 빼 줄수 있다"

기사승인 2020-10-23 10:00:31
▲쿠키뉴스 DB

[쿠키뉴스] 조계원 기자 =임대를 준 집주인 중 절반 이상은 금융자산 처분만으로 세입자의 임대보증금을 반환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계약기간 종료후 전세보증금을 내주고, 전월세가를 크게 올려 매물을 내놓는 임대차 3법의 부작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불러오고 있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통계청의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9년 현재 임대보증금 부채가 있는 약 326만 8000여가구(전체가구 대비 16.5%, 이하 임대가구) 중 현재 보유한 금융자산이 세입자의 임대보증금 보다 더 많은 가구는 193만 7000여가구로 59.3%에 달했다고 23일 밝혔다.(가구수 및 금액 가중치 적용). 

산술적으로 임대가구 10가구 중 6가구는 현금, 저축, 펀드, 주식, 임차금 등 단기간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처분하여, 세입자에게 임대보증금을 내어줄 수 있었다는 결과다. 

더욱이 금융자산이 보증금보다 같거나 적은 133만 800여가구(40.7%) 중 101만 7000여가구(31.1%) 또한 차입 여력이 있어, 이들 가구까지 합산한다면, 임대가구의 90.4%는 임차계약이 마무리되면 보증금을 반환하고, 전세가를 올려서 새로운 임대차 계약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분석이다.

김 의원은 기본적으로 임대가구의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임대가구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 7768만원인 반면, 평균 임대보증금은 1억 3133만원이었다. 임대가구의 60.1%는 소득4분위(6,977만원)~5분위(1억 3,754만원)로 고소득층이었으며, 평균 10억 4574만원의 자산에, 실물자산 또한 평균 8억 6805만원을 보유했다.

반면 평균 부채는 2억 5084만원(금융부채 1억 1951만원)에 평균 임대보증금은 1억 3133만원이었다. 이에 임대가구의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은 23.9%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 가구는 1만310가구로 0.31%에 불과했다. 80%이상으로 범위를 넓혀도 3.2%(106,155가구)에 그쳤다.

금융기관의 대출 여력을 알 수 있는 DSR비율 또한, 임대가구의 19.4%만(63만 5824가구)이 양호 기준인 40%를 넘어섰고, 나머지 80.6%의 가구는 40% 아래였다.

김상훈 의원은 “임대보증금을 반환할 수 있는 집주인이 많다는 것은 계약만기 시점에 전세가를 가파르게 올릴 여지가 크다는 것”이라며, “임대차3법 통과 이후 국토부는 서울 갭투자 비율을 거론하며, 전세금을 반환하고 전월세가를 올리는 사례가 적을 것이라 했지만, 이는 희망사항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기초자료를 재검토하여 실수요자의 주거부담을 완화할 보완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주문했다.

▲김상훈 의원


chokw@kukinews.com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
조계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