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골다공증' 홍보 예산 없다…내후년 국가단위 '유병률 조사' 나서

질병청 '골다공증' 홍보 예산 없다…내후년 국가단위 '유병률 조사' 나서

여성 골다공증 환자 증가하지만 체계적 관리 부족

기사승인 2020-11-03 14:13:28
3일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쿠키뉴스가 ‘건강한 노후를 위한 골다공증 골절 관리정책 방향 모색 좌담회’를 개최했다. 박효상 기자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질병관리청이 골다공증 질환 관리를 위한 홍보 예산이 없어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예산 확보 및 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 마련을 위해 국가단위의 골다공증 유병률 조사를 오는 2022년부터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조경숙 질병청 만성질환관리과장은 3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열린 ‘건강한 노후를 위한 골다공증 골절 관리정책 방향 모색 좌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좌담회는 고령인구의 뼈 건강 및 골절 예방에 핵심적인 ‘골다공증’ 질환 관리의 정책적,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강선우 국회의원실(더불어민주당)과 쿠키미디어가 주최했다. 

조 과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평균 수명은 지난 50년간 20세 이상 증가했고, 전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에서의 만성질환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골다공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골다공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5년 82만명에서 2019년 108명으로 증가했으며, 이중 여성이 94%로 남성 대비 16배 많았다. 골다공증 진료비는 같은 기간 1864억원에서 지난해 2827억원으로 늘었다.

지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진행된 골밀도 관련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골다공증 유병률은 2008년 19.8%에서 2010년 21.8%로 증가했다. 특히 여성의 유병률이 2010년 기준 34.9%로 남성(7.8%)에 비해 매우 높았다. 같은 기간 70세 이상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47.8%로, 이중 여성은 65.2%, 남성은 20.0%로 확인됐다.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50세 이상 골감소증 환자는 2010년 기준 전체 4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50.3%, 남성은 46.4%를 차지했다. 

문제는 50세 이상 연령에서의 골다공증 인지율과 치료율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2008년 기준 50세 이상 골다공증 인지율은 전제 22.4%였으며 치료율은 11.1%에 불과했다. 여성의 경우 24.0%가 인지했지만 치료율은 11.3%였고, 남성은 10.6%가 인지했지만 9.1%만 치료했다. 연령별로 골다공증 유병률이 가장 높은 70세 이상의 인지율은 14.2%, 치료율은 9.0%에 불과했다. 

조 과장은 “골다공증은 골절로 이어져 사회적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예방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율을 제고시켜야 하지만 정부에서는 예산이 없어 골다공증을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고혈압과 당뇨는 심뇌혈관의 선행질환이기 때문에 정책 우선순위로 정해 관리하고 있다. 암은 사망률 1위이기 때문에 많은 정책이 나오고 있고 검진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며 “골다공증의 경우 예방 차원에서 간단하게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홈페이지에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라는 제목으로 진단 및 증상, 예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홍보 예산이 반영된 게 없어서 적극적인 해결방안을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골다공증에 대한 국가건강검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조 과장은 강조했다. 

그는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발병률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2018년부터 국가검진대상을 확대했다. 현재 만54세와 만66세 여성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검진 주기를 더 당겨야한다는 목소리가 있는데, 미국은 65세 이상만 검진 대상이고 65세 이하는 폐경기 여성만 대상이다. 영국도 폐경기 여성에 대해서만 검진을 하고 있지만 국가단위는 아니다. 검진사업은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선제적으로 하고 있다고 보지만, 필요하다면 사회적 논의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난 2011년 중단된 국가단위 골다공증 유병률 산출 조사를 2022년부터 재개해 정책 수립 시 근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 예산 확보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