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공정위 “전환집단 지주회사, 손자회사로 지배력 확대…배당 외 수익 의존”

공정위 “전환집단 지주회사, 손자회사로 지배력 확대…배당 외 수익 의존”

기사승인 2020-11-18 12:00:23
▲사진=박효상 기자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쿠키뉴스] 신민경 기자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환집단 지주회사는 손자회사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배당수익보다 브랜드 수수료, 컨설팅 수수료 등 배당 외 수익에 의존하고 있었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주회사 현황을 분석·공개했다.

지주회사 수는 올해 9월말 기준 전년보다 감소한 167개(6개 신설·12개 제외)로 집계됐다. 공정위는 지주회사 167개 및 소속 자·손자·증손회사(소속회사) 2022개를 대상으로 ▲일반 현황 ▲재무 현황 ▲계열회사 현황 ▲소유·출자구조 ▲내부거래 현황 및 수익구조 등을 분석했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지주회사의 평균 자회사(5.3→5.4개), 손자회사(5.6→5.9개), 증손회사(0.5→0.8개)는 전년보다 증가했다. 전환집단의 경우 전체 지주회사와 달리 평균 손자회사 수(19.8개)가 평균 자회사 수(10.9개)의 2배 수준이었다. 지난 5년간 전체 손자회사 중 전환집단 소속 비중이 자·증손회사에 비해 크게 증가(12.5%p)했다.

지분율이 낮은 구간(상장 30%, 비상장 50% 미만)에서 상대적으로 전환집단 소속 자·손자회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낮은 지분율 구간의 전환집단 비중은 자회사 42.0%, 손자회사 53.5% ▲전체 지분율 구간의 전환집단 비중은 자회사 30.5%, 손자회사 48.3% 등으로 조사됐다.

전환집단은 상대적으로 지배책임을 크게 부담하지 않으면서 손자회사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확대해 왔다. 총수있는 일반지주 전환집단(22개)의 지주회사는 총수 및 총수일가 평균지분율이 각각 26.3% 및 49.5%다. 이들 전환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평균 15.25%로, 일반집단의 내부거래 비중(10.48%)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구조에 있어서도 배당수익(매출액의 40.9%)보다는 배당 외 수익(51.9%)에 의존하고 있으며, 22개 대표지주회사 중 7개사는 배당 외 수익 비중이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주체제 내에서 부당 내부거래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공정위는 내다봤다. 전환집단의 체제밖 계열회사(161개) 중 114개(71%)가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 회사에 해당하며, 최근 4년간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의 비중이 크게 증가(27→50%)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현재 공정거래 법제로는 지주회사 제도가 지향하는 소유지배구조 개선 및 공정한 거래행태를 담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자·손자회사의 의무지분율을 상향(상장 20→30%, 비상장 40→50%)하고, 사익편취 규제대상을 확대(총수일가 지분율 20% 이상 회사 및 이들 회사의 자회사로 확대)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되어 지배구조 및 거래행태의 건전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T1, 1라운드 5승4패 마무리…DN, 9연패 수렁

T1이 DN 프릭스를 꺾고 상승 곡선을 그린 채 1라운드를 마쳤다.T1은 2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연패를 막은 T1은 1라운드를 5승4패로 마치며 2라운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DN은 2023 LCK 서머 2라운드 이후 처음으로 라운드 전패 수모를 겪었다.양 팀은 1세트 난전을 벌였다. DN은 2용, T1은 5유충을 획득했다. 여기서 T1이 한발 앞서갔다. 18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