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故 이건희 회장 상속세, 주식분만 11.4조···역대 최다

故 이건희 회장 상속세, 주식분만 11.4조···역대 최다

상속대상 부동산 평가에 따라 상속세 12조 넘을 수도

기사승인 2020-12-22 17:26:03 업데이트 2021-04-28 08:04:45
▲지난 2004년 반도체 30년 기념행사에서 "새로운 신화 창조"를 쓰고 있는 고 이건희 회장.(사진제공=삼성)
윤은식 기자
eunsik80@kukinews.com
[쿠키뉴스] 윤은식 기자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상속인들이 내야 할 상속세가 11조366억원으로 확정됐다. 역대 국내 상속세 최대치다. 

22일 재계 및 유가증권시장에 따르면 이 회장의 보유 주식은 삼성전자 7만2300원, 삼성전자우 6만8500원, 삼성SDS 17만7500원, 삼성물산 13만2500원, 삼성생명 8만원으로 마감했다.

지나 10월 25일 별세한 이 회장의 보유 주식 평가 기준일은 10월 23일이다. 따라서 8월24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종가 평균으로 주식 상속가액을 산정한다.

이 기간 종가 평균은 삼성전자 6만2394원, 삼성전자우 5만5697원, 삼성SDS 17만348원, 삼성물산 11만4681원, 삼성생명 6만6276원이다.

여기에 지난 9월 말 고시된 이 회장의 지분율을 반영하면 이날까지 지분가치 평균액은 총 18조9633억원이다. 최대주주인 이 회장의 할증률 20%와 최고세율 50% 자진 신고 공제율 3%를 차례로 적용하면 상속세액은 약 11조400억원으로 산정된다. 주식분만 따로 떼도 역대 상속세 중 최대 규모다.

주식 이외에도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와 서울 용산구 한남동 주택 등 부동산 상속분도 막대할 것으로 추정된다. 에버랜드 가치는 9000억~1조8000억원으로 평가된 바 있다.

따라서 부동산 가치의 평가에  따라 전체 상속세는 12조원으로 훌쩍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의 경우 가액의 50%를 상속세로 내야 하기 때문이다.

상속세 신고납부기간은 내년 4월말까지다. 만일 상속인들이 상속세 납부 부담을 덜기 위해 연부연납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연부연납제도는 내야 할 상속세가 2000만원이 넘을 경우 세금의 6분의 1 이상을 신고·납부 기한 내에 먼저 내고 나머지 금액을 5년 동안 나눠 낼 수 있는 제도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상속게 9215억원을 연부연납제도로 납부하고 있다.

eunsik80@kukinews.com
윤은식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T1, 1라운드 5승4패 마무리…DN, 9연패 수렁

T1이 DN 프릭스를 꺾고 상승 곡선을 그린 채 1라운드를 마쳤다.T1은 2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연패를 막은 T1은 1라운드를 5승4패로 마치며 2라운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DN은 2023 LCK 서머 2라운드 이후 처음으로 라운드 전패 수모를 겪었다.양 팀은 1세트 난전을 벌였다. DN은 2용, T1은 5유충을 획득했다. 여기서 T1이 한발 앞서갔다. 18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