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4일 (토)
대우조선해양, 효성중공업과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 국산화 나서

대우조선해양, 효성중공업과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 국산화 나서

기사승인 2021-05-21 16:00:35 업데이트 2021-05-25 09:06:09
지난 20일 대우조선해양 시흥R&D캠퍼스에서 대우조선해양 최동규 전무(사진 오른쪽에서 네 번째), 효성중공업 김영환 전무(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등 양사 관계자들이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 국산화 공동연구 개발 MOU를 체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 대우조선해양은 친환경 기술력을 앞세워 선박의 핵심 장비인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 국산화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이와 관련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일 효성중공업과 ‘대용량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SGM, Shaft Generator Motor) 국산화 공동연구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 최동규 전무와 효성중공업 김영환 전무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축발전기모터는 엔진 축의 회전력을 활용해 선박 추진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장비다. 최근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면서 글로벌 해운업계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축발전기모터는 발전기의 가동 의존도를 낮춰 연료 효율은 높이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 배출량은 줄일 수 있는 대표적 친환경 신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양사는 지난 2019년 ‘유도기 방식(Induction Type)’의 축발전기모터 국산화에 성공해 LNG운반선, LPG운반선 및 초대형원유운반선에 이 시스템을 적용해 오고 있었다. 대규모 용량이 필요한 컨테이너선의 경우 사실상 수입 제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양사는 기존 방식이 아닌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을 활용한 신기술 개발로 공동 대응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본적으로 연료 효율을 기존 대비 약 3%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선형 변경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탄력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무엇보다 이번 연구가 완료되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영구자석형 축발전기모터를 조달할 수 있어, ‘핵심 장비 국산화’와 ‘수주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게 된다. 또 해외 제품과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컨테이너선을 포함한 모든 선종에 축발전기모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최동규 전무는 “탄소 중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각종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이번 공동 연구로 해당 시장에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동시에 선박용 핵심 장비 국산화를 통해 수주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진로·진학의 길잡이”…활기 넘친 ‘금천진로진학박람회’

“처음에는 그냥 재미로 왔는데, 직접 체험해보니까 ‘이 일을 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23일 오전, 서울 금천구청 광장 일대는 평소보다 한층 분주한 모습이었다. 교복을 입은 중학생들 사이로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도 손에 행사 안내지를 들고 바쁘게 움직였다. 진로에 대한 기대와 호기심으로 가득 찬 청소년들의 활기로 광장은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의 열띤 참여 속에 ‘2025 금천진로진학박람회’가 성황리에 막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