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가 파산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보험금 지내급을 하지 못할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서죠. RBC비율이 200%인 보험사가 있다면 이 보험사는 모든 소비자에게 보험금을 다 주고도 한 번 더 줄 수 있는 자본이 확보돼 있는 겁니다.
RBC비율은 원가기준으로 책정돼 경제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자본변동성과 다양한 리스크를 정교하게 측정하기 위해 시가를 반영한 새로운 기준을 도입하기로 했는데, 이것이 K-ICS인 것이죠. 1억원이었던 보험금이 금리 등 경제 환경이 변하면서 2억원으로 올라갔다면 그만큼의 자본을 확보해야 합니다. RBC비율은 원가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이 수치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RBC비율 대신 시가를 반영한 K-ICS가 도입되면 경제변동성에도 대비해야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합니다. K-ICS가 도입되면 현재 지급여력보다 더 낮아질 수 있어 보험사에서는 선제적으로 자본 확보에 나선 거죠.
RBC비율과 K-ICS는 가용자본/요구자본으로 계산합니다. 가용자본과 요구자본을 원가로 측정하는지 시가로 측정하는지에 따라 RBC비율과 K-ICS로 나뉘는 것이죠. 따라서 비율을 높이려면 가용자본을 늘리거나 요구자본을 줄여야 합니다.
각 보험사에서는 포토폴리오에 따라 가용자본을 늘릴지, 요구자본을 줄일지 경영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예컨대 교보생명은 가용자본을 늘리기 위해 최대 50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 발행 계획을 최근 밝혔습니다.
삼성생명은 과거대비 초장기채 투자규모를 줄이고 본드포워드 등 파생상품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초장기채에 투입되는 자금을 줄이고, 이렇게 확보된 자금을 대체투자 등 고수익자산에 배분하는 것이죠. 고수익자산은 채권보다 이윤이 높아 가용자본을 늘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요구자본을 줄여 지급여력비율을 높이려는 노력도 보이고 있습니다. 보험사는 부동산을 매각해 요구자본을 줄이고 있는데요. 보험사가 소유하고 있는 건물이 시가 평가로 바뀌게 되면 건물을 관리하는 비용 등이 요구자본에 영향을 끼칩니다. 때문에 부동산을 매각해 요구자본을 줄이는 것이죠.
공동재보험 또한 요구자본을 줄이기 위한 방안입니다. 공동재보험은 원수보험사가 위험보험료, 저축보험료 등 영업보험료 전체를 재보험회사에 출재하는 제도입니다. 모든 위험에 대한 책임을 재보험사와 나눠가지는 것이죠. 공동재보험에 가입하면 요구자본이 줄어 지급여력비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ABL생명이 올 3월 양로보험인 알리안츠파워보험 보유계약 일부를 RGA재보험에 공동재보험으로 출재했습니다. 한화생명도 공동재보험 가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sonhj122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