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중·저신용자의 신용대출 비중을 30%까지 확대하면 2년 후 저신용자의 연체율이 최대 14.2%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보고서’(2021년 9월 말)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신용점수 하위 50%) 대출이 확대될 경우 지난해 말 0.7%였던 연체율이 올해 말 1.3%, 2022~2023년 1.7~2.2%로 지난해 말 대비 최대 1.5%p가량 연체율이 상승하게 된다.
저신용자의 연체율은 1년 경과시 9.9%, 2년 경과시 14.2%로 상승하고 중·저신용자의 연체율은 각각 3.8%, 6.7%로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추정된다. 고신용자 연체율은 시간이 지나도 0.1~0.3%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는 지난 5월 금융당국이 발표한 ‘인터넷전문은행 대출 확대 계획’에 따른 조치다. 지난해 말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12.1%로 국내은행 평균인 24.2%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당국은 2023년 말까지 신용대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케이뱅크는 21.4%에서 32.1%, 카카오뱅크는 10.2에서 30.2%, 오는 10월 출범 예정인 토스는 44.9%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인터넷전문은행의 신용대출 확대 과정에서 금융기관 간 대출 경쟁은 향후 가계부채 관리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간 고객 확보를 위한 대출경쟁이 심화될 경우 신용대출 시장 내 경쟁도를 나타내는 허핀달-허쉬만 지수(HHI지수)가 향후 3년 동안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인터넷·모바일 등을 이용한 비대면 신용대출이 2019년 말 28.4%에서 올 6월 말 44.0%로 급증하고 있고 중·저신용자의 소득을 초과하는 신용대출도 지난해 3분기 11.2%에서 올 1분기 19.3%로 증가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앞서 금융권에서는 당국이 최근 인터넷은행을 대상으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한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현실적으로 중금리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14조원으로 고유의 특성 상 시장 규모가 크지 않고 고비용 구조로 수익성이 높지 않다”며 “더욱이 금소법이 정착되면 시장 규모는 더욱 위축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4~5 등급의 상당수가 신용도를 평가하기 어려운 금융이력 부족자 또는 특이점을 가진 대출자이기 때문”이라며 “이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를 통해 자체 CSS 모델뿐만 아니라 복잡한 여신 절차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인터넷전문은행을 통한 중금리 신용대출의 확대는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은행은 “고신용자 위주의 신용 집중을 완화시키고 코로나19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차주에게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onhj122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