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화)
[국감 2021] 여야 한목소리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 인정 너무 적어”

[국감 2021] 여야 한목소리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 인정 너무 적어”

정은경 “미국도 8000건 사망사례 중 인과성 인정 없어”

기사승인 2021-10-06 16:16:21 업데이트 2021-10-06 17:18:58
서울 관악구의 한 병원에서 시민들이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 모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해 정부의 인정이 너무 적다고 지적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례는 전체 접종 6551만8000건 중 29만건(0.44%)이다. 이중 보상 심의가 이뤄진 것은 3425건으로 1793건(52.4%, 9월29일 기준)의 보상이 결정됐다.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가 K-방역을 무척 자랑했다. 1등 공신은 국민 아니냐. 세계 어느나라 국민보다 가장 방역수칙을 잘 준수하고 있다”며 “이런 특별한 국민을 가진 대한민국에서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특별한 대우를 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이어 “백신 이상반응과 관련해 지자체 신속대응팀이 사망자 22건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했지만, 정부는 2건에 불과했다. 중증자 63건도 5건만 인정했다”면서 “중증 이상에서는 치료비가 수천만원 들지만 정부는 1000만원밖에 주지 않는다. 이런 결과를 국민이 어떻게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남양주에서는 접종 후 2시간40분만에 돌아가신 분도 있었다. 기저질환이 문제라고 하는데, 백신 접종 후 사망하게 된다면 접종을 안하는 게 맞지 않나. 일반 국민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코로나확진자의 경우 외국인에게도 입원 치료비까지 무료로 지원했다. 방역수칙을 위반한 사람에게도 입원치료비는 물론 생활지원금까지 지원했다. 백신 부작용에 대해서도 국가가 선지원하는 게 맞지 않나”라고 물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도 “백신은 사회 공동체 전체를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정부의 말을 믿었고 또 그렇게 실천한 것”이라며 “접종 이후 이상반응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이상반응과 부작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보상하겠다는 것은 보상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백신 접종이 잘 됐다고 하지만, 당사자가 된다면 입장이 달라진다. 국가를 믿고 백신을 맞았는데 사망하는 일이 발생한다면 공감을 해야 하는 게 먼저 필요하다. 인과성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자기 희생 혹은 사명감, 책임감에 대한 보상으로 봐야 하는 측면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상대적 형평성을 맞추면서 보상할 수 있다고 본다. 의학적, 과학적인 인과성으로만 볼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전 세계가 모두 동일한 백신은 동시에 맞고 있는 상황이고, 미국이나 유럽연합(EU)도 이상반응에 대해 같이 조사하고 있다. 또 미국에서는 8000건의 이상반응 사망사례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한 사례가 한 건도 없다”면서도 “인과서을 떠나 접종을 받은 분들에 대한 지원이나 보상은 다른 곡면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한국미 알리겠다는 의무감”…‘탄금’ 이재욱·조보아, 전세계 홀릴 미스터리 멜로 사극

철저한 고증으로 구현한 한국미를 바탕으로 사극에 최적화된 배우들이 의기투합한 ‘탄금’이 베일을 벗는다.넷플릭스 시리즈 ‘탄금’ 제작발표회가 13일 오전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다. 현장에는 김홍선 감독, 배우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이 참석했다.‘탄금’은 실종됐던 조선 최대 상단의 아들 홍랑이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돌아오고, 이복누이 재이만이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둘 사이 싹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