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9일 (금)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 전산망 운영 시작…'부작용' 확인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 전산망 운영 시작…'부작용' 확인

환자, 본인 인증 후 투여 내역·장기추적조사 진행 내역 확인

기사승인 2021-11-30 09:32:54
충북 청주시 오송읍 식품의약품안전처.   쿠키뉴스DB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 전산망’이 30일부터 구축·운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따르면, 이번 전산망은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투여, 판매, 공급 내역의 등록과 관리를 위해 도입한 것으로,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치이다.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란 첨단바이오의약품 투여 후 일정기간 동안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이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지난해 9월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센터’로 지정됨에 따라 해당 전산망을 운영하게 된다.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 전산망의 주요 기능은 △(환자) 장기 추적조사 진행 내역 조회 △(장기추적조사 실시자) 판매·공급 내역 관리 △(의사·약사 등) 환자 투여내역 관리이다.

첨단바이오의약품을 투여받은 환자는 본인 인증 후 첨단바이오의약품 투여 내역, 장기추적조사 진행 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를 받은 자, 수입자,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자 등 장기추적조사 실시자는 첨단바이오의약품 판매·공급 내역 등을 전산으로 제출·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취급하는 의사·치과의사·약사는 환자의 동의를 받아 인적 사항과 투여 내역 등을 전산으로 제출·관리할 수 있다. 

식약처는 “이번에 구축된 전산망을 이용하면 안전관리원이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를 효율적·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의사·약사·환자도 편리하게 자료를 기록·관리·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유수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시 가입자 500만명 이탈 예상…3년간 7조원 손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이번 유심 해킹 사태로 위약금 면제 시 한 달 최대 500만명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 인한 위약금과 매출 감소로 3년간 약 7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9일 유 대표는 전날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SKT 해킹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위약금 면제 시 번호이동 하는 사람이 얼마나 생길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해킹 사태 이후 약 25만 명 정도가 이탈했고 지금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